TV/연예
[마이데일리 = 배국남 대중문화전문기자] "접대 받으러 온 남성들은 악마다. 100번 넘게 끌려 나갔다. 새 옷을 입을 때는 또 다른 악마들을 만나야 한다.”“부모님 제삿날에도 접대 자리에 내몰렸다. 명단을 만들어 놨으니 죽더라도 복수해 달라. 내가 죽어도 저승에서 복수할 거다.”
6일 SBS 뉴스에서 지난 2009년 3월 7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장자연이 2005년부터 2009년 자살 직전까지 지인에게 직접 작성한 50통의 편지를 보냈고 이 편지에는 장자연에게 100여 차례에 걸쳐 성 접대를 받은 연예기획사 관계자, 대기업·금융업 종사자, 언론사 관계자 등 31명의 이름이 담겨 있다고 한 보도를 보면서 장자연은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하는구나라는 안타까움과 함께 재수사를 통해 반드시 진실은 밝혀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편지의 진위논란이 일고 있지만 편지에서 밝힌 내용의 상당부분은 장자연이 지난 2009년 3월 7일 자택에서 소속사 대표의 성상납, 술접대 강요 그리고 폭행 등을 적시한 문건에도 담겨 있다.
“저는 나약하고 힘없는 신인 배우입니다. 이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라는 절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 큰 충격을 주면서 문건의 진실규명과 함께 제2의 장자연이 나오지 않도록 투명한 캐스팅 시스템 구축, 연예기획사의 합리적이며 합법적인 계약 및 관리 제도 확립, 연예인 인권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뒤따라야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왔습니다.
하지만 경찰과 검찰의 소리만 요란한 수사 끝에 2009년 8월19일 수원지검 성남지청 형사3부(부장검사 김형준)는 19일 고 장자연씨의 소속사 전 대표 김모씨를 고인에 대한 폭행 및 협박, 전 매니저 유장호씨를 김씨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각각 불구속 기소하고 강요죄 공범 혐의 등으로 경찰이 송치한 드라마 PD, 금융회사 간부, 전직 언론인 등 나머지 피의자 12명은 모두 무혐의 처리했다고 밝힘으로서 고 장자연씨 자살사건에 대한 수사를 종결했다. 진실규명과 거리가 먼 그야말로 변죽만 울린 수사였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소속사 전 대표 김모씨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명령 160시간, 전 매니저 유모(32)씨에게는 집행유예 1년이 선고되면서 사건이 일단락됐다.
그리고 장자연 자살을 계기로 연예인의 인권과 합리적인 계약관행을 수립하자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고 ‘장자연법’으로 불리는 ‘연예매니지먼트 법안’은 2년째 국회계류중인 것을 비롯해 반짝 관심에 그쳤다.
그리고 너무나 쉽게 장자연이라는 이름이 잊혀 지고 장자연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문제에 대한 개선은 거의 없었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이런 상황을 보면서 장자연은 죽어서도 편하게 눈을 감지 못하겠구나라는 생각을 갖게됐다.
이런 상황에서 SBS의 장자연 편지보도가 나왔고 그 편지는 다시 한번 연예계의 추악한 일면과 연예인 인권과 생존권을 짓밟고 신인 여자 연기자를 죽음으로 내몬 문제와 관련인물들이 적나라하게 노출시켰다.
SBS 보도가 나오면서 정치계, 연예계, 여성계 등 각계 각층에서 장자연 사건의 재수사를 통한 진실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반드시 장자연 관련해 철저한 재수사가 이뤄져야한다. 그리고 범법행위가 밝혀질 경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사법적 처리를 해야 하고 제2의 장자연이 나오지 않도록 각종 제도를 보완해야한다. 그래야 2년전 절규를 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신인 탤런트 장자연이 눈을 감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한맺힌 복수의 한이 풀릴 것이다.
장자연의 복수를 당부하는 글이 더 이상 나오지 않기 위해서는 정말 구호가 아닌 확실한 진실규명과 처벌 그리고 제도보완이 뒤따라야한다.
[지난 2009년 3월 7일 성상납 강요 등 연예계 병폐를 적시한 문건을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신인 연기자 장자연. 사진=마이데일리 사진DB, SBS화면캡처]
배국남 대중문화전문 기자 knbae@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