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유병민 기자] 프로야구 신생 구단의 선수 지원 방안 논의가 마무리 된 가운데 외국인 선수 엔트리의 확대가 야구팬들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8일 오전 서울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실행위원회를 열고 엔씨 소프트가 우선 협상권을 갖고 있는 제 9구단 선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자리에서 제 9구단으로 참가하는 엔씨소프트를 포함 신규 구단은 외국인 선수에 대해서 2년 간 4명 등록, 3명 출전을 결정했으며 기존 8개 구단은 3명 등록, 2명 출전을 하기로 결정했다. 실행 시기는 아직 미정이다.
이에 따라 현재 16명의 외국인 선수 규모는 27명(2년간 9구단 1명 증원시 28명)으로 늘어났으며 지난 1998년 외국인 선수 제도 도입 이후 14시즌 만에 실질적인 엔트리 증원이 이뤄졌다.
외국인 선수 확대는 구단에게 실보다는 득이 많다는 것이 야구계의 해석이다.
우선 3명 등록. 2명 출전으로 변경시 팀 전력의 가장 허약한 곳을 손쉽게 메울 수 있고 용병선발 실패의 위험부담도 줄일 수 있다. 최근 대부분 구단들이 외국인 선수 2명을 투수로 선발하는 가운데 엔트리 확대가 시행되면 투수 2-타자 1 또는 타자 2-투수 1 등 다양한 묘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무엇보다 용병을 통해 FA선수들의 몸값을 견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용병의 몸값도 예전에 비해 많이 상승했지만 수십억에 달하는 FA 선수들의 몸값에 비할 바는 아니다.
그러나 구단들이 쓸만한 외국인 선수를 찾기 위해 드는 비용의 증가와 지난해 KIA 로페즈의 사례로 알 수 있듯이 팀워크를 저해하는 용병을 선발 할 수도 있다는 위험 부담이 따른다.
또 일각에서는 외국인 선수 엔트리 확대로 아마추어 야구 발전이 저해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이 역시 어떤 방법으로 풀어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시즌 한국무대를 밟은 LG 리즈-두산 니퍼트. 사진 =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제공]
유병민 기자 yoob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