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종합
[마이데일리 = 최두선 기자] 일본발 방사성 물질이 국내에서 검출되고 봄철 황사까지 불어오면서 황사와 방사능을 결합한 '황사능'이란 신조어가 생겨 화제다.
7일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방사능 비가 내리고 중국 황사가 몰려오며 최근 건강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방사능 비는 일반적으로 영유아의 경우, 어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2배 가량의 영향을 예견한다"며 "그러나 7일 현재 우리나라 제주에서 최고치를 보인 빗물의 농도조차도 매우 미미하여 인체에 영향이 없는 수준이다"라고 전했다.
실제 7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따르면 제주 방사능 측정소에서 6일 자정부터 7일 오전 3시까지 채취한 빗물을 분석한 결과 요오드(I-131), 세슘-137, 세슘-134가 각각 2.02, 0.538, 0.333㏃/ℓ 농도로 검출됐다.
이는 최고 농도(2.02㏃/ℓ)의 빗물을 하루에 2ℓ씩 1년 동안 마셨더라도 0.0307mSv 정도의 방사선 피폭이 예상될 만큼 적은 양이다.
반면 황사의 미세먼지는 인체에 곧바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사가 심한 날에는 천식이나 폐렴으로 입원하는 환자가 9% 늘고, 전체 사망률이 1.7% 높아진다. 특히 호흡기나 심혈관질환자의 사망률은 4.1%나 증가한다.
이와 관련 장용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SBS와의 인터뷰에서 "황사가 1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우리 몸의 장기는 호흡기이다"라며 "호흡기에 부담이 많아지면 심장에도 1차적인 부담이 가게 된다"고 전했다.
[방사능 비 맞을까 우산 깊이 눌러 쓴 시민들. 사진 = 송일섭 기자 andlyu@mydaily.co.kr]
마이데일리 pres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