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
[마이데일리 = 김주영 인턴기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애플과 구글의 위치정보가 모두 와이파이(Wi-fi) 망을 통해 수집된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보안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와이파이란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국내 통신사로는 SK의 'T-와이파이존', KT의 '쿡 와이파이존'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은 각각 크롬이나 검색 툴바가 설치된 컴퓨터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집해왔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와이파이 망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와이파이의 경우 무료 망이기에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데 별도의 과금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해당 통신사도 모르는 사이 와이파이가 본래 사용 취지와는 다른 다른 방향으로 사용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 상황에 대해 "와이파이 접속을 차단하면 애플이든 구글이든 위치정보는 전송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공짜 서비스를 포기할 수도 없어 사생활 침해 위험을 감수하고 와이파이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와이파이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이렇다할 규제도 사실상 없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상에서 와이파이망을 이용해 데이트 송신이 이뤄질 경우 사용자에게 이 사실이 팝업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지만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정보 등 외부기기와의 자동 동기화 과정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수시로 발생한다.
[사진 = 월스트리트저널 캡쳐]
김주영 juny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