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은지 기자] 지금 대한민국은 오디션 공화국이다. 오디션 시대다. 해외서 나와 국내 케이블 채널에서 시작된 오디션 프로는 지금 지상파까지 앞다퉈 틀고 있다.
국내 오디션 프로그램 열풍의 시작은 엠넷 '슈퍼스타K'다. 이 프로그램은 일반인 뿐만 아니라 과거 가수로 활동한 적 있는 사람들이 출연해 자신의 끼를 발산해 가수의 꿈을 이루는 포맷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슈퍼스타K'가 배출한 스타는 시즌1의 서인국이 있으며 시즌2에서는 장재인, 허각, 존박, 우은미 등이 있다. 기존까지 케이블 채널은 5% 이하의 낮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슈퍼스타K'는 예외였다. 말그대로 '열풍'을 몰고 왔다.
이런 인기에 힘입어 MBC는 '위대한 탄생'이라는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과 사내 아나운서를 선발하는 '신입사원'을 신설했고, SBS는 연기자를 뽑는 '기적의 오디션'을, KBS는 밴드를 뽑는 'TOP밴드'와 글로벌 리더를 뽑는 '도전자'를 앞다투어 만들어냈다. 가수부터 탤런트, 사내 직원(아나운서신)을 스튜디오에서 방송 틀어놓고 뽑고, 또 '잘난' 일반인들까지 오디션으로 뽑는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지상파 채널끼리 맞짱을 뜨는 중복 편성도 하고 있다. '슈퍼스타K' 이후 가장 먼저 전파를 탄 '위대한 탄생'은 빗겨갔지만 '기적의 오디션'과 '도전자'는 프로그램 내 경쟁과 함께 금요일 밤 동시간대 편성을 확정, 비슷한 오디션 포맷으로 경쟁을 펼치게 생겼다.
이슈를 만들어내고 화제를 일으켜야하는 방송사의 마음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가수와 연기자 뿐만 아니라 사내 아나운서, 즉 직원을 채용하는 것도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하는 것에 대해 시청자들은 불편하기만 하다. 그리고 점차 그게 그것으로 보여 시청자들에게 자기 아들딸 오디션에 나가지 않았으면, 재미도 없다. 이러다가 공멸할 뿐이다.
최근에는 '신입사원'에서 유료 문자 투표를 활용하는것에 대해 "자기네 회사 직원을 뽑는데 왜 돈을 내고 우리가 투표를 해야 하나"라는 의견이 나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시청자들은 사내 CCTV도 아니고 지상파 채널로'직원 채용쇼'도 보고 있어야 하나.
현재 대한민국은 '오디션 공화국'이다. 이러다가 대통령도 오디션으로 뽑아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얘기도 나온다. 기실 대선에서 대통령 후보가 선거앞두고 TV토론하는 것이 일종의 오디션이기도 하지만, 후보의 국가관, 국가운영능력, 청렴도, 그리고 '강심장' 폭로를 하던 개그를 하던 성대모사를 하던 국민을 즐겁게 하는 개인기까지 평가기준을 세분화해 몇몇 원로심사위원과 국민평가단 앞에서 오디션쇼 '나통령'(나는 대통령이다)을 진행해도 될 지경이다.
[슈퍼스타K, 기적의 오디션, 도전자, 톱밴드. 사진 = 엠넷, SBS, KBS 제공]
이은지 기자 ghdps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