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종합
[마이데일리 =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 김종국 기자]알제리의 할릴호지치 감독이 한국전 승리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한국은 23일 오전(한국시각)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서 열린 알제리와의 2014브라질월드컵 H조 2차전서 2-4로 패했다. 알제리의 할릴호지치 감독은 경기를 마친 후 "팀플레이가 알제리의 강점이다. 지난번에 근거없는 비판을 받았다. 강호 벨기에전을 마친 후 비판이 많았다. 우리가 집중했다면 더 잘했을 것이다. 초반에 잘하다가 후반에 피로해 역전 당했다. 지금은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 초반 15분 실점을 하면 안된다고 했다. 계속 압박했다. 전반전에는 완벽한 경기를 했다"고 말했다.
다음을 할릴호지치 감독과의 일문일답.
-벨기에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였는데.
"팀플레이가 알제리의 강점이다. 지난번에 근거없는 비판을 받았다. 강호 벨기에전을 마친 후 비판이 많았다. 우리가 집중했다면 더 잘했을 것이다. 초반에 잘하다가 후반에 피로해 역전 당했다. 지금은 다른 면모를 보여줬다. 초반 15분 실점을 하면 안된다고 했다. 계속 압박했다. 전반전에는 완벽한 경기를 했다. 훌륭했고 효율적이었다. 후반에는 느려졌지만 심리적인 면과 신체적인 면도 있었을 것이다. 오늘 경기는 완벽했다. 선수들이 잘했다. 승리를 알제리 팬들과 국민들에게 바치겠다. 수년동안 이런 승리를 기다려왔다."
-선발 멤버가 벨기에전과 비교해 5명이 교체됐는데.
"나의 전술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이 경기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지난번에 뛰지 않았던 선수들과 복수를 하려한 선수가 있었다. 그런 것을 고려해 조직했고 한국을 흔들려고 했다. 전반전에는 완벽하게 경기했다. 후반전은 전반전보다 좋지 않았고 느슨해 졌다. 후반전에는 조직적이었고 신체적으로 뛸 준비가 됐었다. 어려운 순간도 있었다. 전술적으로 연구를 했다. 4번째 골은 교과서적인 골이었고 브라질 팬들도 좋아했을 것이다."
-1982년에는 독일전에서 훌륭한 경기를 했는데 한국전 승리 후 다음승리까지 30년을 기다려야 하나.
"알제리팬들은 우리를 항상 믿어왔다. 언론이 우리를 믿지 못했다. 오늘 경기는 모든 사람에게 선물이 될 것이다. 알제리 국민들은 우리를 100% 응원해왔다. 우리가 경기마다 좋아질 것이다. 30년 만의 승리는 우리에게 자신감을 줄 것이다. 다음 경기에 이겨야 한다."
-미디어가 비판적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
"왜 그런지 모르겠다. 여기있는 기자에게 직접 물어보면 알 것이다. 3년전 알제리에 처음왔을때 알제리는 엉망이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시작했고 팀 구성도 새로했다. 많은 노력을 했다. 대표팀을 처음 맡았을 때 FIFA 랭킹은 50위였고 지금은 20위권이다. 우리가 발전한 것을 수치로도 파악할 수 있다. 나 뿐만 아니라 우리 가족까지 비판했다. 나는 교육을 받은 사람이고 계속 소통하려 한다. 가족까지 비판한 것은 참을 수 없었다."
-비판이 없었다면 선발 명단 변화도 없을 것 아니었나.
"여러명을 교체하고 싶었다. 오늘 이경기를 위해 몇몇 선수들을 염두하고 있었다. 특히 공격수에 대해 그렇게 생각했다. 수다니는 훈련때 열심히 했다. 수다니를 선발 명단에 포함시키려 한 것은 상당히 효율적이고 열심히하는 선수였기 때문이다. 교체에 대해선 조심해야 한다."
-러시아전 선발 명단 변화 가능성은.
"오늘 모범적인 경기를 했다. 4-5명의 새로운 선수들도 있다. 우리는 바르셀로나가 아니다. 때에 따라서는 세트피스에 대처해야 한다. 세트피스로 골을 넣을 수 있어야 한다. 오늘은 효과적이었다."
-한국 수비에 대한 평가는.
"경기전에 한국에 대한 분석을 많이 했다. 슬리마니나 다른 선수들은 우리의 주요 선수였다. 공간을 이용하며 역습하고 깊이 침투해 득점 장면이 많았다. 한국은 조직력이 좋고 압박을 잘한다.
하지만 깊이 침투하면 문제가 생긴다. 그것은 한국 뿐만 아니라 다른팀도 마찬가지다. 그런 상황서 우리 선수들의 재능을 활용해야 한다. 우리가 예전처럼 연습을 많이했다."
-16강행이 걸린 러시아전에 대한 계획은.
"러시아전은 지켜봐야 한다. 러시아가 우위에 있지만 과감하게 싸워야 한다. 회복이 필요한 선수들도 있다."
[할릴호지치 감독. 사진 = 유진형 기자 zolong@mydaily.co.kr]
김종국 기자 calcio@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