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마이데일리 = 허설희 기자] "각오 높게 살라", "각오 높게 춤 추라". 누구나 꿈 꿀 권리가 있다. 꿈 속에 산다며 눈총 받을지라도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즐기고 추구할 줄 안다면 각오 높게 실천해야 한다. 그곳이 전쟁터일지라도.
뮤지컬 '로기수'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북한군 포로 소년 로기수가 거제포로수용소에서 미군 흑인 장교의 탭댄스에 마음을 빼앗기며 시작된다. 종전 후 이익을 챙기기 바쁜 미군과 수용소 내 이념 전쟁이 극에 달한 포로들 사이에서 로기수가 꿈과 희망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비장한 댄스와 빈티지한 음악으로 풍성하게 그린다.
'로기수'는 한국전쟁 당시 세계적인 포토저널리스트 베르너 비쇼프가 촬영한 사진 한 장에서 시작된 이야기. 성별을 알 수 없는 수십 명의 포로들이 온 얼굴과 머리를 감싸는 복면을 뒤집어 쓰고 열을 맞춰 다같이 춤추고 있는 사진은 1952년 상황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포로 수용소에서 댄스에 빠져 꿈을 꾸는 아이러니한 상황. 여기서 '로기수'에서 말하는 꿈에 대한 간절함은 더욱 강조된다. 극중 상황은 극단적이긴 하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 때보다 자유로워진 지금 세대에도 누구나 꿈을 위해 살지는 못하는 것이 사실. '로기수'는 이 꿈을 위해 살지 못하는 이들의 꿈을 일깨워준다.
북한군 소년 포로 로기수는 아픈 역사 속에 부모를 잃고 총소리 트라우마까지 갖고 있다. 미국을 증오하며 그 어떤 것에도 치열하지 않다. 다시 고향에 돌아가기 위해 '전장의 악마'가 된 형 로기진과 대립하는 이유도 이 때문. 로기수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형의 이야기가 더해지면서 형제애도 강조된다.
'로기수' 속 이야기가 더 가슴 아픈 것은 실제 우리 역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 포로들 사이에서 북한으로 송환을 거부하는 반공포로들이 조직한 '해방동맹'과 남한에 남길 원하는 친미반공포로들이 조직한 '대한반공청년단'의 이념 대립이 또 다른 전쟁을 벌이고 있는 거제포로수용소 이야기가 같은 얼굴을 한 한 민족끼리의 싸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역사를 그린다.
아픈 역사 속에 꿈을 말하기에 '로기수'는 더 뭉클하다. 미국의 우월함을 과시하려는 수용소장 돗드에 의해 탭댄스를 접하게 된 로기수가 순식간에 탭댄스에 빠져드는 과정이 더 아픈 것도 이 때문. 로기수가 "미국은 싫지만 단스(dance)가 난 좋아~"를 부르며 행복하게 탭댄스를 추기까지의 과정에는 온갖 이념적, 정치적 싸움이 존재하기에 춤을 추는 그의 벅찬 표정, 땀 흘리며 날아 오르듯 춤추는 그의 움직임이 더 안타깝고 관객들을 눈물 짓게 한다.
때문에 극중 노래하고 춤추고 싶어 무작정 집을 나왔지만 포로가 된 민복심이 돌아가신 어머니가 말한 "꿈을 버리면 너도 없다. 하루를 살아도 꿈꾸며 살아. 이 말 기억해. 후회하지마. 어디에서라도 무슨 일 있어도. 꿈꾸며 살아. 꿈 속에 살아"를 노래할 때도 가슴을 쿵 두드린다. 포로 번호가 아닌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의 얼굴을 드러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어하는 극중 인물들이 관객들 마음 속 꿈까지 꿈틀거리게 하는 것이다.
공연 시간이 다소 긴 것도 이 때문. 꿈을 위해 살게 되는 이들의 과정이 친절하게 설명되는 동시에 인물 하나 하나 드라마가 부각되기에 그 어떤 이야기도 놓칠 수가 없다.
'로기수'가 꿈이라는 주제로 관객들을 자극하는 이유는 또 있다. 실제로 넉달 가량 탭댄스를 연습한 배우들의 땀이 눈에 보이기 때문. 무대 위 배우들은 수준급 탭댄스 실력을 자랑하며 흥을 돋군다. 그 자체를 즐기다가도 이들의 굵은 땀방울을 눈으로 확인하는 순간 무대에 서는 이들의 꿈까지도 와닿아 더 벅차다. 2층 구조 무대에서 펼쳐지는 결코 작지 않은 스케일의 액션 또한 놀라움을 자아낸다.
김태형 연출과 변희석 감독은 관객들이 원하는 바를 정확히 짚었다. 가슴 뭉클한 드라마와 감성을 자극하는 풍성한 음악, 이를 뒷받침하는 무대와 조명의 적절한 선택은 관객들 몰입도를 높인다. 생생한 라이브 밴드 음악 속에 울려 퍼지는 탭댄스 소리는 넘버 이상의 울림을 준다.
'로기수'는 땀은 결코 배신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각오 높게 살라"를 외치는 이들의 각오 높은 무대가 믿고 보는 창작 초연을 탄생시켰다.
5월 31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 공연시간 150분. 아이엠컬처 02)541-2929
[뮤지컬 '로기수' 공연 이미지. 사진 = 스토리피 제공]
허설희 기자 husullll@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