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 류승룡 주연의 영화 ‘손님’이 독일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과 만나 판타지 호러로 탄생했다.
‘외부에서 온 사람’을 뜻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손님은 날자(日數)를 따라 동서남북으로 이동하며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는 귀신 ‘손’에 님자를 붙여 생긴 말이다. 이사나 결혼 등 큰 일을 치를 때 '손'을 피해 손 없는 날을 골라 행하는 전통이 남아있을 정도로, 민간신앙에서 ‘손’은 큰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영화 ‘손님’에서 지도에도 나오지 않는 마을로 초대 없이 들어선 ‘손님’인 떠돌이 악사 ‘우룡’(류승룡)이 마을 사람들에게 불길한 존재이자 두려움의 대상인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손님’의 제목이 토속 민간신앙에서 시작해 익숙한 단어를 뒤집어보는 것에서 출발했다면 주제와 소재는 독일의 민간 전설인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에서 차용했다. 중세 시대, 독일의 작은 도시 하멜른은 음식물을 축내고 사람들을 공격하는 쥐떼로 골머리를 앓았다. 한 남자가 나타나 하멜른 시장에게 쥐를 모두 없애줄 테니 금화 천냥을 달라고 제안한다. 남자는 피리를 불어 쥐떼를 몰아내지만 시장이 약속한 돈을 다 주지 않자 남자가 다시 피리를 불어 아이들을 사라지게한다는 이야기다.
영화 ‘손님’에서 겉으로 평화로워 보이지만 쥐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마을로 들어선 손님 우룡(류승룡)도 피리를 부는 악사다. 1950년대 한국전쟁 휴전 직후, 지도에도 나오지 않는 산골 마을로 달라진 시공간을 배경으로, 영화 ‘손님’은 서양 전설 ‘피리 부는 사나이’의 모티브와 가장 한국적인 민간신앙인 '손'에 대한 두려움을 합쳐 신종 장르 판타지 호러로 탄생시켰다.
1950년대 지도에도 나오지 않는 산골 마을로 들어선 낯선 남자와 그의 아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이 숨기려 했던 비밀과 쥐들이 기록하는 그 마을의 기억을 다룬 판타지 호러 ‘손님’은 7월 개봉 예정이다.
[사진 = 류승룡. 제공 =유비유 필름]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