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KBL 경력자들의 선발 가능성이 더 커진 듯하다.
KBL은 19일부터 22일(이하 한국시각)까지 진행되는 2015-2016시즌 프로농구 외국선수 트라이아웃&드래프트에 참가한 선수가 최종적으로 123명이라고 밝혔다. KBL은 드래프트 신청자들 중 231명(KBL 경력자 38명)에게 초청장을 보냈지만, 실제 19일 트라이아웃이 진행되는 미국 라스베거스 데저트 오아시스 고등학교에서 신장을 측정한 선수는 123명이었다.
총 108명의 선수가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 13명은 KBL 경력자. 트라이아웃에 참가하는 123명 중 KBL 경력자는 25명으로 집계됐다. 결국 트라이아웃에서 경력자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실제 최장신(210.2cm) 니콜로즈 츠키티시빌리, 가드(191cm) 안드레 에밋 정도가 NBA 출신으로서 현지에서 눈에 띄는 뉴 페이스로 꼽힌다. 10개구단 모두 기존 외국선수와의 재계약 없이 장, 단신자 1명씩 뽑는 상황. 성적을 위해 경력자 선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다.
▲KBL 경력자 25인 면면은
경력자 25명 중 23명이 193cm 이상 장신자로 분류됐다. 아무래도 1라운드 최상위 순번 지명이 유력한 리카르도 라틀리프가 가장 눈에 띈다. 모비스에서 3시즌간 뛰면서 파워와 스피드, 공수를 갖춘 완성형 빅맨으로 자리매김했다. 신장은 199.2cm(신발 벗고)로 측정됐지만, 라틀리프 정도로 뚜렷한 약점 없이 안정적인 기량을 갖고 있는 장신자가 드물다는 게 중론.
애런 헤인즈(199cm), 데이비드 사이먼(203cm), 트로이 길렌워터(197.2cm), 리오 라이온스(205.4cm), 리카르도 포웰(196.2cm) 등도 순번이 관건일 뿐, 결국 선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에 변함이 없다. 실제 이들 중 사이먼, 라이온스를 제외하면 신장 측정서 2m를 넘은 선수는 없다. 신발을 벗고 재면서 신장이 낮게 책정됐지만, 실질적으로 2m를 넘는 경력자들보다도 이들의 경쟁력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감독들은 포웰, 헤인즈 등 실력이 완전히 검증된 196~199cm 장신자를 선택하느냐, 그들을 택할 경우 193cm 이하 단신자 선발로 인한 팀 평균신장 하락을 감안, 모험을 감수하고 2m 넘는 선수를 과감히 지명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깊다.
그런 점에서 아이라 클라크(200.1cm), 테런스 레더(200.1cm), 찰스 로드(200.1cm), 키스 클랜튼(202.2cm), 허버트 힐(202.8cm), 자밀 왓킨스(204.8cm), 코트니 심스(205.1cm), 로드 벤슨(206.7cm) 등 2m가 넘는 경력자 빅맨들의 행보도 관심거리. 신장제한이 부활한 상황서 2m 넘는 빅맨들의 가치는 올라갔다. 이들은 최소 대체선수로 KBL에 돌아올 수도 있다. 물론 일부는 전성기를 지나면서 운동능력이 떨어졌고, 코트 안팎에서 트러블이 있었던 케이스도 있다. 이런 점들을 감독들이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선발 가능성이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다.
이밖에 단신자로 분류된 빈센트 그리어(190.8cm), 웬델 맥키니스(192.4cm), 스테판 브래포드(193.5cm), 조셉 테일러(194.7cm), 제스퍼 존슨(196.6cm), 리온 윌리엄스(196.6cm), 앤서니 심슨(197.2cm), 크리스 메시(198.9cm), 크리스 모스(201.1cm), 대리언 타운스(205cm), 조나단 존스(206.6cm) 등도 KBL 경력자 타이틀을 갖고 재입성을 노린다.
▲도중하차한 경력자 13인
트라이아웃 초청장을 받았지만, 실제 라스베거스에 나타나지 않은 13명도 있다. 지난 시즌 뛰었던 찰스 가르시아, 디션 심스, 브라이언 데이비스, 마커스 루이스를 비롯, 필리핀 대표로 뛰었던 마커스 다우잇, 올스타전 덩크왕 출신 후안 파틸로 등이 드래프트 참가를 포기했다. 카를로스 딕슨, 마이클 더니건, 키스 랜들맨, 가넷 톰슨, 알렉산더 존슨, 웬델 화이트, 케니 로슨도 마찬가지. 이들은 KBL 규정상 2015-2016시즌에는 대체선수로도 국내에서 뛸 수 없다.
신장측정에 참가한 123명의 선수들도 20일과 21일 치러질 트라이아웃에 이어 22일 치러질 드래프트에 정상적으로 참가하지 않을 경우 올 시즌은 대체선수로도 국내에서 뛸 수 없다. 과거 타 리그와 계약이 된 선수들의 경우 트라이아웃 도중 하차하곤 했다. 또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과거 트라이아웃까지 정식으로 참가한 선수들도 정작 드래프트 현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때가 있었다. 자신이 뽑힐 가능성이 낮다는 걸 인지했거나, 뒷돈 등 각종 부가적인 사항 등을 놓고 구단들과 모종의 거래를 시도하다 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이런 케이스가 나온다면 22일 드래프트의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
[라틀리프와 사이먼(위), 헤인즈와 포웰(아래).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