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윤욱재 기자]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예산 절감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통신 인프라 분야에서 50억 여 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는 "올림픽 통신관로 개설 시, 도로굴착에 따른 원상복구 심의 규정을 강원도와의 협의를 통해 완화시켜 53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예산이 절감된 분야는 지하관로를 통해 경기장과 국제방송센터 등 간의 올림픽 방송중계망 광케이블 통신관로 330km에 이르는 공사로 당초 예산은 241억원에 달한다.
특히, 이 가운데 강원도 도로관리사업소 소관 지방도인 평창 대관령과 면온IC~보광, 간평~횡계 구간 등 27.9km의 경우, 지난해 3월 도로굴착 심의기준상 재포장 규격(복구 폭)이 기존 1.2m에서 2.3m로 강화돼 많은 예산이 투입될 상황이었다.
조직위 정보통신국은 그러나 이 구간 통신관로가 올림픽 시설임을 감안해 강원도에 심의 기준을 완화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협의, 기존 2.3m에서 1.2m로 복구면적 기준 완화를 이끌어내고, 도로관리청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강화된 굴착 심의 기준이 없어 복구면적을 기존의 1.2m를 유지키로 했다.
이에 따라 조직위는 당초 241억 원인 예산을 188억 원으로 줄이면서 53억 원의 절감 효과를 거뒀다.
조직위는 또, 대회 홍보 분야에서도 한국관광공사를 비롯한 해외 한국문화원 등 유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각종 해외 홍보비용을 절감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기관의 협조를 이끌어 내 홍보 시너지는 높이고 예산은 줄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부서별 사업 추진 시 다양한 방법으로 예산을 절감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조직위는 재정 절감을 위해 총 사업비 5억 원 이상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규모의 적정성과 소요경비의 타당성 등에 대해 심의·결정하는 ‘재정심사제도’를 지난해 12월 도입해 추진하고 있다.
또, 대회에 필요한 장비와 물자는 구매보다는 임차를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개최도시 인근지역의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다각적인 지출절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조직위 여형구 사무총장은 "대회 준비를 위한 각 프로젝트별 예산 절감 노력은 올림픽이 개최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며 "하지만, 비용을 줄인다고 해서 대회 준비나 각종 올림픽 서비스 수준이 하향 조정되는 것이 아닌 ‘저비용 고효율’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욱재 기자 wj3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