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CGV 서정 대표이사가 한국 영화산업의 체급을 키워 글로벌 기업에 맞서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8일 CGV여의도에서 열린 ‘2017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 기조 발표를 통해 “전 세계 영화산업은 지금 큰 격변기를 겪고 있으며 자국을 벗어나 글로벌 전체를 시장으로 삼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면서 “특히 글로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M&A를 통해 규모를 키우고 이를 통해 시장을 확대해 가고 있는 가운데 한국영화산업도 이런 추세를 따라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완다그룹은 이미 전 세계에 스크린 1만 3,000여 개를 확보하고 할리우드 제작사와 스튜디오까지 인수하며 영화산업 전 영역으로 확장을 꾀하고 있다. 스크린 수만 보더라도 CGV보다 5배 가량 많다.
서 대표는 세계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초대형화를 구축하고 있지만, 한국 영화시장은 여전히 국내에만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서 대표는 “지난 10년간 국내 영화개봉편수는 시장 성장세에 비해 엄청난 속도로 늘어 스크린 확보 경쟁은 전쟁터 수준”이라며 “매주 개봉 편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영화들의 순환주기는 점점 짧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2015년 257편이었던 한국영화 개봉편수는 2016년 337편으로 늘었고, 수입영화까지 모두 포함한 전체 영화 개봉 편수는 같은 기간 1,203편에서 1,573편까지 증가했다. 2006년 한국영화 개봉편수가 110편, 해외영화까지 포함한 전체 영화 개봉편수가 351편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10년 사이 각각 3배 가량 늘었다.
한국의 스크린 수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 2,400여개에 머물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스크린 포화상태를 절감할 수 있다.
자사 영화 ‘밀어주기’ 시각에 대한 억울함도 토로했다.
그는 “지난해 박스 오피스 순위 10위권 영화를 들여다 보면 CJ엔터테인먼트와 롯데 엔터테인먼트 영화는 각각 1편씩, 그것도 6위와 9위에 올라 있다”면서“ 이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자사 영화 밀어주기로는 절대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서 대표는 “한국 영화산업 전체가 국내가 아닌 글로벌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치열하게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사진 제공 = CGV]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