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KIA는 개막 3연전 위닝시리즈에도 마냥 웃을 수 없었다.
삼성과의 대구 개막 3연전서 2승1패를 챙긴 KIA. 결과만 놓고 보면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마냥 웃을 수는 없었다. 내용상 매끄럽지 않았기 때문이다. 개막전서 깔끔하게 7-2로 이겼지만, 1~2일 경기서는 마운드가 무너졌다.
1일 경기. 9회초까지 7-0으로 앞섰다. 그러나 9회말에만 7점을 내줘 하지 않아도 될 연장전을 했다. 10회초에 2점을 뽑아냈고, 10회말에 심동섭이 2점을 지켜내며 개막 2연승을 따냈다. 그래도 9회말 7실점 과정은 짚고 넘어가야 한다.
팻 딘, 박지훈이 8이닝을 잘 막았다. 김기태 감독은 9회말 시작과 함께 베테랑 김광수를 올렸다. 김광수가 이승엽에게 안타를 맞은 뒤 최영진을 실책으로 내보냈다. 결국 최경철에게 좌월 스리런포를 맞고 흔들렸다. 강한울을 좌익수 뜬공으로 처리하며 한 숨을 돌렸다. 이후 왼손타자 우동균 타석에서 좌완 고효준이 올라온 것까지는 괜찮았다.
그러나 고효준이 우동균에게 볼넷, 배영섭에게 안타를 잇따라 맞고 흔들렸다. 이 부분부터 꼬였다. 김 감독은 부랴부랴 한승혁을 올렸다. 하지만, 한승혁도 올 시즌 스프링캠프, 시범경기부터 투구 매커니즘을 다잡은 상황. 아무래도 긴박한 경험에선 불안한 게 사실이다.
부담을 느낀 한승혁은 백상원에게 볼넷을 내줬고, 구자욱을 삼진으로 잡았으나 와일드피치를 범했다. 다린 러프에게 고의사구를 내준 뒤 마무리 임창용이 밀어내기 볼넷과 동점 2타점 적시타를 맞고 7점 리드를 날렸다.
김 감독의 투수교체에 한승혁과 임창용을 메인 셋업맨과 마무리로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그러나 경기 자체가 꼬이면서 부담스러운 상황에 내보냈고, 무너지고 말았다. 10회말에 곧바로 심동섭을 올린 건 결과적으로 성공이었지만, 김 감독과 KIA로선 천당과 지옥을 오간 순간이었다.
현 시점서는 한승혁-박지훈-심동섭-임창용 체제로 필승계투조를 꾸리는 게 최상이다. 1~2경기 흔들린다고 해서 세부 보직을 막 바꿀 수는 없다. 144경기 장기레이스이기 때문에 큰 그림을 그릴 필요도 있다. 다만, 김 감독과 이대진 투수코치로선 최상의 세부조합을 찾아가는 과제를 안게 됐다. 경기결과를 떠나서 큰 과제를 안은 1일 경기였다.
2일에는 올 시즌 4~5선발로 뛰어야 할 김윤동과 홍건희가 잇따라 무너졌다. 김윤동은 3이닝 4실점, 홍건희는 1이닝 8실점으로 부진했다. 김 감독이 왜 선발후보 홍건희를 구원으로 투입한 건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김윤동이 무너질 때까지만 해도 홍건희를 투입, 경기흐름을 돌려보려는 의도였다는 걸 유추할 수는 있다. 그러나 홍건희마저 4회에 무너지면서 일찌감치 경기를 놓을 수밖에 없었다.
김윤동과 홍건희가 첫 등판서 무너지면서 상당히 위축된 채 다음 등판을 맞이하게 됐다. KIA 마운드 구성상 두 사람이 4~5선발을 맡아주지 않으면 대안이 별로 없다. 사이드암 임기영도 있지만,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또 다른 선발후보 김진우는 늑골 부상으로 이탈한 뒤 복귀 시점을 잡지 못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뒤이어 나온 고효준은 크게 뒤진 상황서도 2이닝 3실점으로 흔들렸다. 김광수는 2이닝 무실점으로 전날 충격에서 벗어났지만, 고효준의 부진은 KIA로선 뼈 아프다. 선발과 불펜을 오갈 수 있는 스윙맨. 투수들의 컨디션과 상대, 데이터 등에 따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다. 하지만, 고효준 자체의 페이스가 좋아야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 KIA로선 또 하나의 고민을 안은 순간이었다.
KIA가 개막 3연전서 위닝시리즈를 거뒀다. 그러나 마냥 웃을 수는 없었다. 마운드 고민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홍건희(위), 고효준(아래).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