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경성 반도호텔 악단장 강옥(황정민)과 딸 소희(김수안), 종로의 주먹 칠성(소지섭), 위안부로 살며 온갖 고초를 겪은 말년(이정현)이 영문도 모른 채 군함도로 끌려온다. 이곳은 ‘지옥섬’이었다. 조선인들은 해저 1,000미터 깊이의 막장에서 가스 폭발의 위험을 감수하며 하루하루를 견디며 살아간다. 1945년 전쟁이 막바지로 치닫자 광복군 소속 OSS 요원 무영(송중기)은 독립운동 주요인사 구출을 위해 군함도에 잠입하고, 일제는 군함도 만행을 감추기 위해 폭파 계획을 실행한다.
‘군함도’는 충무로 액션장인 류승완 감독이 작심하고 만든 대탈출 스펙터클이다. 애초 이 영화가 기획됐을 때 일각에선 ‘애국 코드’의 과잉을 우려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국뽕’과 ‘신파’를 비켜갔고, 일본인을 절대악으로 묘사하지도 않았다.
영화가 시작하면 카메라는 군함도의 전경을 보여준 뒤 탄광의 내부로 들어가 깊이를 알 수 없는 막장의 밑바닥으로 향한다. 수직으로 떨어지는 초반의 이미지는 극 후반부 수직으로 올라가는 조선인 행렬과 대비를 이루며 대탈출의 동력을 마련한다.
일제 치하 힘없는 조선인의 울분과 분노는 군함도의 거친 파도처럼 일렁이고, 조선인의 고혈을 짜내는 일제와 부역자의 탄압과 갈취는 군함도의 높은 담벽처럼 견고하다.
곁가지를 쳐내고 곧바로 이야기의 중심으로 진입하는 빠른 리듬의 전개는 몰입감을 높이고, 지옥계단·개미굴·막장 등 당시를 완벽하게 재현한 초대형 세트장과 프로덕션은 현장감을 살린다. 내부의 적을 찾아내는 과정과 분열을 단합으로 이끄는 스토리도 흥미를 더한다.
중반부터는 류승완 감독의 장기가 도드라진다. 칠성과 종구(김민재)의 막싸움부터 조성된 긴장감은 후반부 총싸움과 백병전이 어우러지는 클라이막스에 이르러 최고조로 치닫는다. 일본군의 감시를 피해 은밀하게 진행되던 대탈출이 강렬한 전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서스펜스와 액션의 활력이 관객을 두근거리게 만든다.
황정민은 악단장 특유의 엔터테인먼트 기질을 발휘하며 딸을 보호하는데 앞장 서고, 소지섭은 의리의 주먹으로 액션신을 책임진다. 이정현은 한 많은 조선 여인의 기구한 삶을, 김수안은 황정민과 티격태격하며 웃음을 자아내는 딸 캐릭터를 자연스럽게 소화했다. 송중기는 정의로운 군인으로 등장해 카리스마 넘치는 열연했다.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징용은 역사적 사실이고, 대탈출은 영화적 허구다. 류승완 감독은 아무리 거센 파도가 몰아쳐도, 아무리 높은 담벽이 버티고 서 있더라도 그들을 탈출시킬 원했다. ‘군함도’는 당시에 희생된 조선인들의 억울한 영혼을 치유하는 류승완 감독만의 영화적 제의(祭儀)다.
[사진 제공 = CJ엔터테인먼트]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