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YTN 방송화면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숙박비는 모두 지불했습니다."
전남 완도에서 실종된 조유나(10)양 가족이 연락이 끊기기 전 마지막으로 머문 펜션 관계자가 27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조양 가족과 관련해) 답변드릴 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광주경찰청을 인용한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한 초등학교 5학년인 조양과 아버지(36), 어머니 이모(35·여)씨 등 3명은 지난달 24~28일(4박), 29~30일(2박) 등 총 6일간 해당 펜션에서 숙박했다. 지난달 28일 퇴실 후 완도를 벗어났다 하루 만에 돌아와 같은 펜션에 묵은 뒤 지난달 30일 오후 10시57분쯤 퇴실했다.
경찰과 해경은 인력 300여 명과 드론·헬기·경비정을 투입해 신지면 일대 해안가를 중심으로 수중 수색까지 벌였으나 아직 조양 가족의 행방을 찾지 못했다.
조양 가족이 머문 펜션은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해수욕장 인근에 있다. 수영장을 갖춘 풀빌라로 하루 숙박비(4인 기준)는 40만 원이다. 펜션 등에 따르면 조양 가족은 실종 전 숙박비로만 최소 240만 원을 쓴 셈이다.
이를 두고 경찰 안팎에서는 "조양 가족이 굳이 비싼 숙소를 잡고 외출도 삼간 채 일주일 가까이 머물렀는지 의문"이라는 말이 나온다.
조사 결과 컴퓨터 판매업을 하던 조양 아버지는 지난해 말 폐업했다. 학교 측은 경찰에서 "조양 집에 갔더니 우편함에 관리비 미납 고지서와 금융기관 독촉장, 법원 우편물 송달 안내문 등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고 했다.
모두 조양 가족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추정할 만한 단서지만, 경찰 관계자는 "실종자 수색이 먼저"라며 "실종 원인이나 중간 행적을 파악할 만한 여력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조양 어머니는 지난달 17일 "5월 19일부터 6월 15일까지 '제주도 한 달 살이' 체험을 떠난다"며 학교 측에 인터넷으로 교외체험학습 신청서를 냈다. 하지만 체험학습 기간이 끝났는데도 조양이 등교하지 않고 부모와도 연락 닿지 않자 지난 22일 실종 신고를 했다.
이에 대해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이날 이 매체와의 통화에서 "현재로선 '자녀 살해 후 극단적 선택'일 가능성이 제일 크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이 교수와의 일문일답.
Q : 조양 가족의 마지막 행적이 수상하다.
A :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들도 한 번에 성공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마지막이라고 여기면 생각이 많아진다. 더구나 본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 등 가족이 있다 보니 이것저것 생각을 많이 한 행로로 보인다."(※경찰이 확보한 펜션 폐쇄회로TV(CCTV)에는 이들의 마지막 행적이 담겼다. 조양 어머니가 축 늘어진 딸을 등에 업고 펜션을 나서는 장면, 아버지 조씨가 한 손에 비닐봉지를 든 채 휴대전화를 확인하는 장면, 부부가 조양을 승용차 뒷좌석에 태우고 어디론가 떠나는 장면 등이다.)
Q : 범죄 피해 가능성은.
A : "매우 희박해 보인다. 만약 뭔가 위험하다고 느꼈다면 완도로 다시 돌아오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 온 것을 보면 결국은 종착점이 거기(완도)라는 판단이 선 것 아니겠나."
Q : 극단적 선택 외 가능성은 없겠나.
A : "밀항 등 해외 도주를 염두에 둘 수 있지만, 그러려면 아이를 그렇게 짐짝처럼 만들어서는 어렵지 않을까. 초등학교 5학년이면 어린애가 아니지 않나. 밀항한다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도주하는 게 훨씬 합리적이다. 보통 그 정도 나이의 아이면 (누군가) 업고 움직이면 깬다. (펜션 CCTV를 보면) 아이가 축 늘어져 있다. 수면제 등을 염두에 둘 만한 상황이다."
Q : 부부 사이엔 극단적 선택에 대한 공감대가 있었다고 보나.
A : "공감대 없이 아이가 그 지경이 됐는데 야밤에 끌고 나가진 않았을 것 같다."
Q : 완도에 머물 때 중간 행적을 조사하면 행방을 추정할 만한 단서가 나오지 않을까.
A : "원래는 제주에 간다고 했는데, 완도를 마지막 종착점으로 선택한 데는 부모의 연고 등 뭔가 이유가 있을 것이다."(※완도에는 아버지 조씨의 외갓집이 있으나 현재는 아무도 살지 않는 빈집이라고 경찰은 전했다.)
Q : 극단적 선택을 염두에 뒀다면 굳이 하루 40만 원짜리 풀빌라에 머물 이유가 있었을까. 조양 가족이 펜션에 머무는 동안 거의 나가지 않고, 수영장도 이용하지 않았다는데.
A : "(삶의) 마지막이면 금전적 비용은 중요하지 않지 않나. 아이에게는 여행이라고 얘기했고 거기에 적합한 모양새를 취했을 것이다. 일단 여행의 기본적인 요건은 갖춰야 하지 않나. 초등학교 5학년 정도면 (여행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저항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아마 (딸을)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게 우선이지 않았을까."(※조양 어머니는 체험학습 신청 당일 인터넷으로 펜션을 예약한 뒤 숙박비를 계좌로 보냈고, 조양은 체험학습 신청 다음 날(5월 18일)부터 결석했다고 한다.)
Q : 조양 가족의 승용차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건 바다에 추락했거나 밀항 가능성만 남는데.
A : "아이를 데리고 밀항하는 게 상상이 안 된다. 밀항한다는 건 빚을 많이 진 사람의 도주 가능성인데 빚을 진 본인(조양 아버지)만 도주하면 되는 것 아닌가. 도주할 생각이었으면 옆에 여러 명을 달고 가는 건 어렵지 않나."
Q : 조양 가족의 휴대전화가 순차적으로 꺼졌다.
A : "한꺼번에 몰살된 건 아니다. 차량이 남아 있다면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겠지만, 차량도 못 찾고 있어서 차량과 사람이 함께 있다고 가정하는 게 제일 합리적일 것 같다. 물속이든 어디든…."(※조양 가족의 휴대전화는 펜션에서 나온 직후인 지난달 31일 오전 0시40분(조양), 1시9분(어머니), 4시16분(아버지) 순으로 꺼졌다. 조씨 휴대전화 신호는 펜션에서 3.9㎞, 차로 6분 거리인 송곡선착장에서 마지막으로 잡혔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