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문재인 정부 5년간 총경급 이상 경찰 고위직을 호남과 PK(부산·경남)이 독식한 반면 타 지역 출신들은 상대적으로 고위직 진출이 매우 제한되는 등 지역차별이 심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경찰청이 국민의힘 임병헌 의원에게 제출한 2017년 5월~2022년 4월말까지의 총경급이상 승진자의 지역별 현황자료를 인용한 문화일보 보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동안 호남과 PK출신의 독식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최고위직인 치안총감의 경우 전체 2명을 부산과 전남 출신이 각각 차지했다. 치안정감의 경우 전체 29명 중 부산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출신이 4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경북, 경기, 인천, 울산의 경우 치안정감 승진자는 0명이다. 치안감 승진자의 경우도 부산과 충북이 7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가 5명으로 뒤를 이었다. 경기와 인천 출신은 치안감 승진자가 단 1명도 없었다.
경무관 승진자 역시 부산 출신이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가 13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 기간 경무관 승진자 총 112명 중 부산, 광주, 경남, 전남, 전북, 울산 출신이 55명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총경 승진자도 예외가 아니었다. 서울(53명)을 제외하고는 광주 출신이 49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출신이 47명, 부산과 전북 출신이 각각 40명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문 정부 기간 인천 출신은 총경 9명, 경무관 1명 외에 승진자가 전무했다. 경기 출신도 경무관 2명, 총경 18명 외에 다른 승진자가 전혀 없어, 호남과 PK만 독식한 심각한 지역차별 인사가 이뤄졌음이 확인된 셈이다.
임 의원은 “입만 열면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운 나라를 내세우던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이렇게 노골적인 지역편중 경찰인사가 이뤄졌다는 것이 참으로 놀랍다”며 “왜 지난 정부에서 발생한 각종 의혹사건들이 제대로 수사되지 않고 미적거렸는지, 민주당이 ‘검수완박’에 왜 그토록 집착해왔는지 그 이유를 짐작하고도 남겠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인위적 지역안배도 바람직 하진 않지만, 노골적 지역편중 인사는 경찰조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내부갈등과 반목을 불러오는 만큼 지양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