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승록 기자] 'MBC 스페셜'에서 지난 1월 22일 별세한 문학계의 대모 故 박완서 작가의 삶을 되돌아본다.
오는 25일 'MBC 스페셜'은 박완서 추모 특집 '그 겨울은 따뜻했네'를 방송한다.
1931년 일제시대에 태어난 박완서는 오로지 교육의 힘만을 믿는 어머니 덕분에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좋은 교육을 받고 자랐다. 학창시절 내내 문학을 사랑했던 소녀 박완서는 서울대학교 국문과에 입학하게 된다.
그러나 입학한 지 나흘 만에 불어 닥친 6.25 전쟁은 그녀의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아버지이자 우상이었던 오빠의 죽음을 지켜봐야 했고 젊은 나이에 가장이라는 짐을 져야 했다.
전쟁이 쓸고 간 서울은 폐허가 돼 있었고 생계를 이어갈 직장이라고는 미군부대 PX뿐이었다. 박완서는 다행히 PX 초상화부에 취직돼 그녀를 작가의 길로 들어서게 한 박수근 화백과 만나게 된다.
박수근 화백의 유작전에서 본 '나무와 여인'이란 작품은 박완서에게 잊을 수 없는 충격을 안겨줬다. 박완서는 마음 속에 감춰왔던 6.25 전쟁의 매서운 기억을 나눌 수 있는 동지를 만난 듯한 기분이었고 그 충격에 이끌려 쓰게 된 작품이 박완서의 처녀작 '나목'이다. 박완서는 나이 마흔살에 주부 작가로 다시 태어난다.
또 박완서는 어머니의 말씀을 따라 처자식만 아는 착실한 남편과 결혼했고 슬하에 1남 4녀의 자녀를 두었다. 하지만 28년간의 짧은 결혼 생활 만에 사랑하는 남편을 폐암으로 먼저 보내고, 같은 해 8월 애지중지하던 외아들을 교통사고로 잃었다.
박완서는 '한 말씀만 하소서'에서 "신이 생사를 관장하는 방법에 도저히 동의할 수가 없고, 특히 그 종잡을 수 없음과 순서 없음에 대해선 아무리 분노하고 비웃어도 성이 차지 않았다"고 표현했다.
박완서는 이후 글 쓰는 병에 걸린 것처럼 묵묵히 쉬지 않고 글을 써내려갔다. '미망', '한 말씀만 하소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등 한 가정의 평범한 어머니였던 박완서는 아픔을 견디며 작품에 몰두했다.
특히 지난 1월 박완서의 장례식장에는 '부의금은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란 글이 적혀있어 세상을 감동시키기도 했다. 고위층의 허영심과 근거 없는 권위의식을 날카롭게 꼬집던 그녀는 세상을 떠난 뒤에도 평생 상처 입은 자들의 편이었다.
40년 동안 작품을 통해 분단과 전쟁의 시대를 증언하고 여성을 양지로 끌어올린 박완서의 문학세계를 되짚어 보는 'MBC 스페셜'은 오는 25일 오후 11시 5분에 방송된다.
[故 박완서 작가. 사진 = MBC 제공]
이승록 기자 roku@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