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남안우 기자] 공정한 경쟁은 올바른 원칙을 지켰을 때 가능하다. MBC가 김영희 PD의 교체를 전격 결정했다. 김 PD는 ‘우리들의 일밤’의 새 코너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이하 나는 가수다)를 총 지휘한 연출자다. ‘나는 가수다’는 MBC의 대표적인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 밤에’를 폐지시키고 ‘예능 왕국’ 부활을 위해 ‘쌀집 아저씨’로 유명한 김 PD가 앞장 서 야심차게 기획한 코너였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는 방송 3회 만에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 한 자리대에 머물던 시청률을 두 자리대로 만든, 게다가 뜨거운 사전 기대감에 힘입어 가파른 시청률 상승세도 바라볼 수 있었던 코너가 김건모의 재도전 논란으로 시청자들의 뭇매를 맞으면서 총 지휘자가 하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재도전 논란의 불씨가 됐던 김건모도 자진 하차하면서 ‘나는 가수다’는 코너의 존폐 위기감까지 일고 있다. 이렇게 된 데는 원칙을 지키지 않은 ‘無 원칙’이 자리했다.
당초 ‘나는 가수다’는 7명의 실력파 가수가 출연해 500명의 일반 청중 심사단 앞에서 노래를 부른 뒤 7위를 한 가수가 떨어지는 서바이벌 형식의 리얼 예능을 표방해 왔다. 김 PD도 코너 시작에 앞서 밝혔듯 “7위를 한 사람은 탈락이 아닌 다음 도전자를 위한 양보의 개념으로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런데도 이 원칙은 재도전이라는 복병을 만나면서 무너졌다.
예능 프로그램이 단지 흥미와 재미를 안겨주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 그 이상의 감동까지 전달해야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가수다’는 스스로 규정한 원칙을 스스로 뒤바꿔버리는 우를 범했다. 바로 그 점이 시청자들을 뿔나게 했다. 시청자들은 프로그램 게시판과 각종 블로그, 커뮤니티를 통해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나는 가수다’는 ‘무한 재도전’ 코너가 될 것”이라는 질타가 이어졌다.
패러디도 등장했다. ‘나는 가수다’의 첫 탈락자는 PD, 재도전에 재도전 또 재도전이라는 등 원칙을 지키지 않은데 따른 웃음거리도 됐다. 심사에 참가했던 500명의 청중 심사단은 과연 뭐가 되는가. 이들의 소중한 선택과 투표의 박탈감이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실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건 생각하지 못했을까.
‘나는 가수다’에 출연중인 가수들도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면 안 된다. 시청자들은 가수들이 흔들려서 잇따라 자진 하차하는 모습을 원치 않는다. 분명 ‘나는 가수다’는 신선했다. 한 자리에 모일 수 없는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가수들이 나와 경쟁한다는 것 자체가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포맷이었다. ‘진짜 가수들이 설 수 있었던 무대’인 ‘나는 가수다’가 당초 기획했던 재미와 흥미 외에 감동을 안겨 줄 수 있는 코너가 되길 기대해 본다.
['나는 가수다'를 총 지휘했다 재도전 논란으로 하차한 김영희 PD(위)와 방송 캡쳐. 사진 = MBC 제공]
남안우 기자 na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