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경민 기자]향후 대형 배급사에서 배급하지 않는 영화가 순식간에 극장가에서 사라지는 일이 없어질 전망이다.
26일 오후 2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영화진흥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영화진흥위원회(위원장 김의석, 이하 영진위) 주요 업무보고에서는 한국 영화계의 문제들에 대한 토론이 오갔다.
이날 영진위는 한국영화에 고질적으로 시행되던 불공정거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표준상영계약서’의 권고안 발표와 전면시행을 예고했다.
국내 영화 시장의 경우 3개 메이저 배급사의 시장 지배력으로 소위 말하는 ‘작은영화’는 극장을 찾기도 힘든게 현실이다. 실제로 영진위 조사결과 CJ, 롯데, 쇼박스 3개 메이저 사의 시장점유율은 72.5%에 달했고, 극장 부문의 경우 CGV-프리머스, 롯데, 씨너스-메가박스의 시장 점유율이 82.7%에 달한다.
CJ의 경우 CGV-프리머스와 롯데의 경우 롯데시네마와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어 중쇼 규모의 배급사들은 극장 잡기 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영진위는 5월 중으로 ‘표준상영계약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표준상영계약서’는 영화 배급의 문제로 거론됐던 교차상영, 조기종영, 부금율 등을 막는다는게 주요 골자다.
영진위는 교차상영의 경우 배급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상영기간의 연장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도, 조기종영 방지의 경우 최소 상영기간을 1주 이상 보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영진위 주요업무보고는 내수 산업의 포화, 영화 인력 문제 등 한국 영화 산업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석하고자 개최 됐다.
이날 업무보고에는 정병국 문화부 장관과 김의석 위원장을 비롯해 이춘연 ‘씨네2000’ 대표, 정재형 동국대학교 교수, 김형준 CJ E&M 픽쳐스 글로벌 본부 고문, 최진욱 전국영화산업노조 위원장, 양종곤 PGK대표, 차승재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사장, 조철현 타이거 픽쳐스 대표, 서동욱 NEW대표, 고영재 인디플러그 대표 등 70여명의 국내 영화 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경민 기자 fend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