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장영준 기자] '뻐꾸기 둥지'가 '대리모 출산'이라는 과감한 소재를 선택, 신선한 시도에 나선다. 연출을 맡은 곽기원 감독은 "공감과 치유의 드라마"라며 시청자들에게 기대를 부탁했다.
'천상 여자' 후속으로 오는 6월 3일 첫 방영될 KBS 2TV 새 일일드라마 '뻐꾸기 둥지'(극본 황순영 연출 곽기원 백상훈 제작 예인 E&M)의 제작진은 음성적으로 존재하지만 공론화되지 못한 '대리모 출산'이라는 소재를 통해 불임으로 고통 받는 이들의 문제에 공감하려 나섰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2008~2012년)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불임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 2천명에서 2012년 19만 1천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 또 우리나라 기혼부부의 불임 발생 비율은 13.5%로 부부 7쌍 중 1쌍으로 추정된다는 분석도 있었다.
가족의 행복과 대를 잇기 위해서도 자식이 꼭 필요하다는 한국의 전반적인 정서와 불임부부가 최후로 선택할 수밖에 없는 대리 출산에 대해서 반기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는 불임부부들이 겪는 고통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대리 출산은 불임부부의 의뢰를 받은 여성이 인공 수정이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출산하는 방법으로 아직 한국에서는 안전한 법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일부 국가의 경우 상업적 목적의 대리 출산은 금지한 반면, 이타적인 목적의 대리 출산은 법적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대리모 출산을 둘러싸고 계약의 합법성과 생명 윤리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뻐꾸기 둥지'는 이러한 문제들을 피하지 않고 우리 주변에서 불임으로 고통 받는 이들에게 관심을 돌렸다. 불임으로 인해 본인들이 겪는 고통과 주변 가족들과의 갈등,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대리모의 권리 침해 문제, 또 과연 '대리 출산으로 태어난 아이의 진정한 부모는 누구인가?'하는 문제까지 본격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곽기원 감독은 "'뻐꾸기 둥지'는 복수라는 강렬한 테마가 드라마의 중심을 이루지만 막장이 아닌, 공감과 치유의 드라마가 될 것이다"라며 "아이를 낳지 못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공감하며 가슴 뭉클한 모성애를 보여줄수 있는 작품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황순영 작가는 "사랑을 잃은 사람들의 아픈 상처 치유기, 기른 정, 낳은 정 등 모정에 관한 이야기"라며 "원한과 복수를 녹일 수 있는 사람의 힘과 진정한 용서를 보여줄 드라마로 화해와 믿음으로 좌절을 극복하는 과정을 따뜻하고 친근한 인물들을 통해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그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뻐꾸기 둥지'는 오빠를 죽음으로 내몰았던 여자의 대리모가 되어 처절한 복수를 꿈꾸는 한 여인과 자신의 인생과 아이를 지키기 위해 분투하는 또 한 여인의 갈등을 그린 처절애잔 복수극으로 '천상 여자' 후속으로 6월 3일 첫 방송된다.
[KBS 2TV 일일드라마 '뻐꾸기 둥지'에 출연하는 배우 장서희. 사진 = 예인 E&M 제공]
장영준 digout@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