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종합
[마이데일리 = 강산 기자] 월드컵 본선 무대 2경기에서 슈팅이 단 하나도 없고, 2차례 평가전 포함 최근 4경기에서 무득점도 모자라 슈팅 시도 자체가 2개뿐이다. 그것도 스트라이커가 말이다. 이제는 박주영(아스날)에 대한 고집을 버릴 때가 된 듯하다.
박주영이 출전한 한국은 23일(이하 한국시각)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리 에스타디오 베이라히우에서 열린 2014 브라질월드컵 알제리와의 H조 조별리그 2차전서 2-4로 패했다. 이로써 한국은 조별리그 전적 1무 1패(승점 1), 골득실 -2로 H조 최하위에 처졌다. 벨기에전서 대승을 거두고 러시아-알제리전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자력 16강행은 무산됐다. 위기다.
문제는 스트라이커다. 한국은 2경기에서 2골을 뽑아냈지만 원톱으로 나선 박주영의 몫은 아니었다. 스트라이커는 팀이 필요할 때 득점을 올려주는 해결사인데, 박주영은 해결은커녕 슈팅조차 때리지 못했다. 누가 봐도 스트라이커와는 거리가 멀다. '증발했다'는 표현이 딱 어울린다.
박주영은 이날 전반 21분 공중볼 경합에 참여하지 않아 돌파를 허용하는 어이없는 상황을 연출했고, 전반 25분에는 손흥민의 패스를 따라가지 못했다. 2번째 실점 상황에서는 알제리 할리시의 헤딩을 바라보기만 했다. 후반 12분 김신욱과 교체될 때까지 슈팅은 물론 별다른 움직임조차 보여주지 못했다. 이번 대회 2경기에서 113분을 소화하며 '슈팅 제로'다.
홍명보 대표팀 감독은 '원팀(One Team)'이라는 자신의 원칙을 깨면서 최종 엔트리에 박주영을 발탁했다. 리그 경기에 몇 차례 나서지 못한데다 봉와직염 부상까지 안고 있던 박주영을 품었다. 그런데 믿었던 박주영은 지금까지 보여준 게 전무하다. 러시아전부터 움직임이 둔했다. 볼 없는 상황에서도 공간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오히려 2경기에서 박주영과 교체돼 들어간 이근호와 김신욱의 몸놀림이 더 가벼워 보였고, 수치상으로도 더 나았다. 이근호는 골까지 만들어냈다.
28일 열리는 벨기에전은 그야말로 '배수의 진'이다. 앞에는 적이 있고, 뒤에는 강이 있다. 이긴다고 해도 러시아-알제리전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어찌됐든 이기고 봐야 한다. 지금의 박주영이라면 쉽지 않다. 교체 멤버였던 이근호와 김신욱이 이를 증명했다. 이제는 박주영에 대한 집착을 버릴 때가 됐다.
[박주영(오른쪽)과 홍명보 감독. 사진 = 포르투 알레그리(브라질) 유진형 기자 zolong@mydaily.co.kr]
강산 기자 posterbo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