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인천 강산 기자]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비난 수위가 날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른바 '추억 만들기'를 한다는 것이다. '자원봉사자 무용론'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최선을 다해 맡은 바 임무를 다하는 자원봉사자들까지 피해를 본다는 게 문제다. 그런데 대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이제 겨우 이틀째다.
펜싱 여자 사브르, 남자 에페 경기가 열린 20일 고양실내체육관. 몇몇 자원봉사자들의 무책임한 행동이 눈에 띄었다. 굳이 찾으려 하지 않아도 눈에 보였다. 체육관 3층 관중석에 누워 수면을 취하고, 공동취재구역(믹스트존) 인터뷰를 마친 선수들에게 사인과 사진촬영을 요구하는 건 빙산의 일각이다. 21일 문학 박태환수영장서 만난 한 일본 취재진도 "믹스트존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선수들과 사진을 찍고 사인을 요구하는 바람에 선수의 소감을 잘 못 들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자원봉사자들의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얘기는 이미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다. 야구대표팀 류중일 감독도 21일 문학구장에서 공식 훈련을 소화하기에 앞서 "어제 목동구장에서 훈련 중에 자원봉사자들이 선수들에게 사인을 요청했다. 훈련용으로 배치된 공을 집어와서 사인해달라고 하길래 혼 좀 냈다. 전반적으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선수들의 훈련을 위해 빼놓은 공을 가져다가 사인을 요청하는 행동이 잘못됐다는 건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일반 팬들도 아닌 대회 자원봉사자들의 행동이라는 게 충격적이다. 사인지도 그야말로 다양하다. 자원봉사자들에게 제공된 티셔츠와 출입증에도 사인을 요청한다. 실제로 21일 메인프레스센터에는 선수들의 사인이 새겨진 상의를 착용한 자원봉사자들이 눈에 띄었다. 복장 관리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됐는지도 의문이다.
이제 대회를 본격 시작한 지 겨우 이틀 됐다. 벌써 여기저기서 문제점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개회식을 시작으로 기자회견 거부, 배드민턴장 정전까지 그야말로 다양하다. 여기에 모범을 보여야 할 몇몇 자원봉사자들이 눈쌀을 찌푸리게 한다. 자원봉사자는 '추억 만들기'를 위해 주어진 특권이 아니다.
[19일 열린 개막식 입장 당시 사진(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 = 마이데일리 DB]
강산 기자 posterbo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