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강산 기자] 한국 레슬링이 무더기 금메달로 화려한 피날레를 장식할 것인가.
1일 인천 도원체육관에서는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66kg, 75kg, 85kg, 130kg급 경기가 열린다. 많은 이들이 레슬링 종목 마지막 날 무더기 금메달이 나오길 기대하고 있다. 한국은 '에이스' 김현우(75kg급)와 류한수(이상 삼성생명, 66kg급), 이세열(조폐공사, 85kg급), 김용민(인천환경공단, 130kg급)이 출격한다.
최대 관심사는 김현우의 그랜드슬램 도전이다. 2012년 런던올림픽 66kg급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던 김현우는 한 체급을 올려 출전한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74kg급과 올해 아시아선수권대회 77kg급까지 석권했다. 특히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2010년 66kg급, 지난해 74kg급에 이어 3개 체급에서 우승하며 아시아 최강자임을 굳건히 했고, 2년 전 런던올림픽서는 한쪽 눈에 멍이 든 상황에서도 정신력으로 금메달을 따내며 온 국민에 감동을 선사했다.
이제 아시안게임 금메달만 추가하면 박장순(자유형 대표팀 감독)과 심권호(대한레슬링협회 이사)에 이어 3번째로 레슬링 그랜드슬램을 달성하게 되는 김현우다. 4년 전 광저우 대회에서 7위에 그친 아쉬움까지 씻어내겠다는 각오가 대단하다. 쉴 때도 틈틈이 맞대결 예상 선수들의 경기 영상을 보며 분석했다. 김현우는 "그랜드슬램이 걸려있지만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아시안게임 금메달만 보고 있다.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면 그랜드슬램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다"고 말했다.
류한수는 지난해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세계선수권 66kg급 우승자다. 올해도 카자흐스탄 아크몰린스크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서 66kg급 3위를 차지했다. 아시안게임 첫 출전서 반드시 금메달을 목에 걸겠다는 각오가 대단하다. 16강 첫 상대는 젱판(중국). 2년 전 경북 구미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 이 체급 우승자다. 올해 아시아선수권자 루슬란 차레프(키르키즈스탄)와 레슬링월드컵 우승자 압신 비야반가르드(이란)이 16강에서 맞대결을 펼치는 건 류한수에 호재다.
85kg급 이세열은 4년 전 광저우 대회 84kg급 은메달리스트. 같은 해 세계선수권서 2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올해는 아시아선수권 87kg급에서 8위를 차지했다. 광저우 대회 이후 국제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진 못했지만 충분한 경험을 쌓은 만큼 4년 전 은메달에 그쳤던 아픔을 반드시 만회하겠다는 각오다. 일단 16강 상대인 오카 타이치(일본)와의 첫 대결이 중요하다.
김용민도 메달 기대주다. 2년 전 구미 아시아선수권 120kg급 우승자인 그는 올해 아시아선수권서 130kg급 3위에 오르며 가능성을 보였다. 올해는 지난 7월 열린 그리스 올림피아오픈서 금메달을 따냈다. 8강 맞상대인 마라피 하니 살라 압델라흐만(요르단)은 광저우 대회 9위, 구미 아시아선수권 5위를 차지했던 한국 나이 35세(1981년생)의 베테랑이다. 광저우 대회 120kg급 동메달을 차지했던 마로욘 투이치에브(타지키스탄)도 강력한 경쟁자다.
한국 남자 레슬링은 전날(9월 30일) 남자 그레코로만형 71kg급서 정지현(울산남구청)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4년 전 '노골드'의 수모를 씻어냈다. 여세를 몰아 레슬링 종목 마지막날 '금빛 굴리기'에 나선다는 각오다. 안한봉 그레코로만형 대표팀 감독은 "레슬링은 아시안게임에서 대표 효자종목으로 꼽혔는데 광저우에서는 아니었다. 자존심을 회복하겠다"고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결전의 날이 밝았다.
[김현우. 사진 = 마이데일리 DB]
강산 기자 posterbo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