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KBL은 올 시즌 김영기 총재 체제 첫 시즌을 맞는다. 6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 호텔. 미디어데이 현장에서 의미 있는 질문이 나왔다. 외국인선수 동시출전 가능성이 언급됐다. 실제 김영기 총재는 재미있는 농구를 위해 올 시즌부터 FIBA룰을 도입했고, 다음 시즌에는 외국인선수 2명을 동시 출전 시키고 신장 제한을 부활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적이 있다. 프로농구 초창기 시절로 되돌아가자는 의미다.
10개구단 감독은 즉각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내놓았다. 오리온스 추일승 감독은 “외국인선수에 대한 비중이 커질 것이다. 외국인선수 선발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 농구의 재미는 좀 더 배가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반면 국내 선수들은 위축될 것이다”라고 했다. 전자랜드 유도훈 감독도 “감독으로선 키 작은 선수를 스카우트 하기 위한 폭이 넓어져야 하고 일이 많아질 듯하다. 제도가 바뀌게 되면 변수에 잘 대처해야 한다”라고 했다.
KCC 허재 감독도 “많은 변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국내선수가 위축이 되는 부분 있다. 대신 용병이 더 많이 뛰면 득점력은 올라간다”라고 했고, KGC 이동남 감독대행도 “단순하게 생각하면 농구 흥행과 재미를 위해 괜찮은 제안인 듯하다. 하지만, 국내선수들과 중고등학교 선수들이 위축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삼성 이상민 감독은 “단순하게 흥행을 생각하면 좋아질 것 같긴 하다. 그래도 국내 선수들이 위축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국내 선수들 진로도 고민스럽다. 그렇지 않아도 신인드래프트서 신인들의 취업률이 낮다. 그 문제를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본다”라고 했다. 동부 김영만 감독도 “새로운 변화에 따라 볼거리도 있다. 하지만, 국내선수들이 위축되는 면도 있다”라고 했다.
LG 김진 감독은 “두 가지 장 단점이 공존한다. 프로로서 흥행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국가 경쟁력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다른 대안을 잘 풀어가면서 그런 부분을 채워가는 게 중요하다”라고 했다. SK 문경은 감독도 “용병 2명이 뛰면 국내 슈터들이 설 자리가 줄어든다. 기술 향상 속도도 저하되지 않을까 싶다. 슈터 출신으로서 용병 2명이 뛰었을 때 국내 선수들의 슈터 포지션 기피 현상이 걱정된다”라고 했다.
kt 전창진 감독은 기대보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피력했다. 전 감독은 “프로농구를 시작했을 때 취지와 다르다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당혹스럽다 국내선수들이 위축된다. 12년만에 금메달을 땄는데 세대교체도 생각하고 국내선수 발전도 생각해야 한다. 걱정스럽다. 경기가 재미있어 질 것이란 것도 예측할 수 없다. 외국인선수들이 2명씩 뛰면 프로농구 시작할 때 거론된 국내선수가 위축되고, 대학 선수들이 진로를 결정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어린 선수들이 농구하는 데 애로사항을 갖지 않을까 상당히 걱정스럽다”라고 했다.
모비스 유재학 감독도 “지난 2년간 대표팀을 맡으면서 어려웠던 점이 국내선수 몸싸움과 적응력, 기술에 대한 문제였다 용병이 2명 들어오면 흥행 보장도 미지수다. 옛날 농구가 재미있었다는 말이 나오는데 용병 2명이 있어야 흥행이 될 것인지도 의문스럽다. 매년 국제대회가 열리는 데 국내선수들의 경쟁력과 활동량을 볼 때 과연 옳은 결정인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라고 했다.
10개구단 감독들은 외국인선수 2명 동시출전에 대해 기대보다는 우려가 컸다. 물론 아직 100% 결정된 부분은 아니다. KBL 수뇌부가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 같다.
[10개구단 감독들. 사진 = 김성진 기자 ksjlsj0829@mydaily.co.kr]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