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영화 '언브로큰'을 연출한 안젤리나 졸리가 일본 우익들의 보이콧 움직임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언브로큰'은 19세 최연소 올림픽 국가대표에서 제2차 세계대전 공군으로 그리고 47일간 태평양을 표류를 거쳐 무려 850일 간이나 일본의 전쟁 포로 생활을 겪고도 끝내 살아남은 실존 인물 루이 잠페리니의 삶을 영화화 한 작품이다.
이에 영화 상영을 앞두고 일본 극우 단체가 거센 반발을 표하며 상영 금지와 안젤리나 졸리의 입국을 반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논란은 루이가 850일 간 일본 포로 수용소에서 모진 고난을 겪는 영화 속 장면에 대해 일본 극우 단체에서 안젤리나 졸리에게 비난을 가하면서 시작됐다. 여기에 포로 수용소의 악랄한 감시관 새 역을 맡은 록스타 미야비가 재일교포 3세 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일본 내에서 비판의 수위는 더욱 높아졌다.
특히 일본 극우 단체는 안젤리나 졸리를 '한국의 사주를 받은 반일 운동가'라고 폄하했다. 최근 일본의 한 서명운동 사이트에 등록된 '언브로큰'의 상영 보이콧을 요구하는 탄원서에는 무려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지지를 표해 놀라움을 주기도 했다.
최근 USA 투데이에 따르면 안젤리나 졸리는 일본에서의 반발에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젤리나 졸리는 "'언브로큰'은 아름다운 메시지를 담은 영화다. 우리는 도쿄 대공습을 비롯한 전쟁의 모든 실상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전쟁 포로로서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낸 루이 잠페리니의 경험이기도 하다. 우리는 결국 전쟁에서 고통 받았던 모든 사람들을 영화로 보여주고, 그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미국인 전쟁 포로들을 위해 운동했던 일본인 작가 키누 토쿠도메 또한 "이 영화('언브로큰')는 전쟁 포로들이 실제로 어떤 대접을 받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일본인들이 진실을 마주볼 수 있도록 한다"며 영화의 원래 의도에 주목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안젤리나 졸리가 메가폰을 잡고 코엔 형제가 각본을 맡으며 제작 단계부터 큰 화제를 모았던 '언브로큰'은 오는 7일 국내 개봉 된다.
[안젤리나 졸리.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