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등 영화계 50개 단체가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해 한 목소리를 냈다.
13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영화인 대책위원회 긴급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영화인들은 최근 부산시의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제 영화상엽등급분류면제추천 제도의 수정 및 예술영화전용관 지원 축소 시도 등 일련의 사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비대위 측은 "최근 벌어지고 있는 이러한 사태들은 영화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것"이라며 "나아가 영화예술발전의 근본인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것"이라고 걱정했다.
이어 "이번 기자회견 이후에도 표현의 자유와 독립성 그리고 자율성이라는 소중한 가치를 훼손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가 잦아들지 않을 시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 영화인 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이은 영화제작가협회 회장은 "10년 넘어 모든 영화 단체들이 한 자리에 모이게 된 것 같다. 10년 전에는 미국의 압력 때문에 스크린 쿼터를 줄이려 할 때 생존의 문제, 문화의 문제로 인식하고 나왔다. 오늘 모인 이유는 표현의 자유 때문"이라며 씁쓸한 속내를 내비쳤다.
또 "표현의 자유를 잃고서 영화의 진흥이나 발전은 없다고 생각한다. 예술인들의 생명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물러날 수 없다는 의지가 많은 영화인들을 한 자리에 모이게 한 것 같다.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그 이상의 정책은 없다. 우리 정부가 인식해주길 당부 드린다"는 바람을 전했다.
영화진흥위원회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인 서병수 부산시장에 대한 질책도 이어졌다.
영화감독조합 부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정윤철 감독은 "영화진흥위원회가 아니라 영화침체위원회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후퇴하고 있다. MB 정부부터 교수 출신이 위원장이었다. 현장을 잘 모르는 분들이 영화계를 말아먹고 있다"고 평했다.
이와 함께 "영화진흥위원회가 침체위원회가 된다면 해체를 요구할 수 있다", "꼭 부산 시장이 부산국제영화제의 조직위원장을 하라는 법은 없다. 이러한 일을 계속 보여준다면 조직위원장인 서병수 시장의 퇴진을 요구할 것"이라는 개인적 생각을 전했다.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 영화인 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안병호 영화산업노동조합위원장은 "우리가 찍으라는 영화만 찍으라는 건 영화를 문화로 보지 않고 다른 가치가 들어가 있다는 극명한 의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며 영화계 50개 단체가 모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전했다.
영화인 비대위 측은 일련의 사태에 대한 의문과 함께 항의의 뜻으로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청했다.
이은 회장은 "다음주 초에 문체부에 면담 요청 공문을 보낼 것"이라며 "민원에 답하는 기간 내에 면담 일정이 잡히길 기다리고 있다. 안 될 경우 우리가 항의 방문이라도 할 생각"이라고 전해 영화인들이 자신들의 표현의 자유를 지켜낼 수 있을지 주목하게끔 했다.
한편 한국독립영화예술영화관 모임, 한국 독립영화 배급사 네트워크는 오는 16일 서울 사당동 아트나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영진위의 예술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 및 다양성영화개봉지원 사업 폐지에 따른 문제와 앞으로의 방향성 등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영화인 대책위원회 긴급 기자회견. 사진 =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