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드라마 '미생'의 장백기는 더 이상 없다, 영화 '쎄시봉'에서 노래로 여심을 홀리던 윤형주도 없다. 강하늘은 영화 '순수의 시대'(감독 안상훈 제작 화인웍스 키메이커 배급 CJ엔터테인먼트)에서 스스로도 '나쁜놈'이라 부르는 악역 진으로 변신, 그동안 보지 못했던 배우 강하늘의 또 다른 모습들을 선보인다.
'순수의 시대'는 왕좌의 주인을 둘러싼 왕자의 난으로 역사에 기록된 1398년, 야망의 시대 한가운데 역사가 감추고자 했던 핏빛 기록을 그러낸 영화로 강하늘이 가상의 인물인 타락한 왕의 부마 진 역을 연기하며 잔혹하면서도 비열한 모습들을 아낌없이 선보인다.
강하늘은 "가장 재미있게 느꼈던 건 부마(왕의 사위)이지만 몸과 정신은 그 직책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그 갭이 재미있었다"고 이번 영화에 출연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그 갭은 다분히 충격적이다. 원하지도 않은 부마 자리에 올라 벼슬길이 다 막혀버린 탓에, 아버지 김민재(신하균)의 인정을 받지 못한 트라우마 때문에, 자신의 아내인 공주의 몸이 좋지 않아 욕구들이 쌓이고 쌓여버린 탓에 진은 다른 여자를 겁탈하고 때리기도 하며 자신의 욕망을 위해서는 어떤 일이든 서슴지 않는 비뚤어진 인물이 되고 만다.
이런 모습들은 기존 강하늘이 선보여 왔던 인물들과 거리가 멀다. 소위 말하는 '대세'에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강하늘이 택한 캐릭터라기엔 파격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어쩌면 자신을 좋아하는 많은 팬들이 원하는 이미지와 180도 다른 모습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강하늘은 진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이런 걱정들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비록 소속사에서 출연을 반대하고 앞으로 CF 등이 들어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강하늘은 "그런 걱정이나 부담은 단 1%도 없었다. 2~3년만 보며 연기를 시작한 것도 아니다. 많은 분들이 실망할 수 있고, 다른 모습을 보고 '실제로 저럴 거야'라고 생각하며 떠나갈 수 있는 건 분명하다"면서도 "단 한 번도 떳떳하지 않았던 적이 없었다. 내가 앞으로 나아갈 길에 경험과 공부가 필요했다. 어울릴 것만 같은 역할만 고집하다가는 그릇이 작아진다. 큰 그릇을 갖길 원했고, 후회는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강하늘은 자신이 택한 인물을 더 완벽히 연기해내기 위해 외로이 홀로 싸우는 시간을 가졌다. 대본상으로 이해는 할 수 있지만 공감은 할 수 없던 인물을 연기해내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자신만의 싸움이었다.
강하늘은 "진을 이해는 하지만 공감을 할 수 없었다. 이해에서 공감까지 가는 시간이 나 혼자만의 시간이었다. 이해를 공감으로 바꾸는 시간 동안 나 혼자라 외로웠던 것 같다. 다른 누군가와의 자극으로 인해 바뀐다던가 그런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한 행동의 정당성을 만들어가기 위해 나 혼자라 그랬던 것 같다"고 회상했다.
마지막으로 강하늘은 영화 '순수의 시대' 예비 관객들에게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우리 영화는 팩트가 아니라 픽션이다.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하는 마음이다. 내가 산지 26년 밖에 안 됐지만 조선은 500년 이라는 시간이 있었다. 나는 26년을 살면서도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조선에서는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겠나. 그런 부분에서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구나'라고 생각하며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장군 김민재(신하균), 왕자 이방원(장혁), 왕의 사위 진(강하늘) 그리고 기녀 가희(강한나)를 통해 '왕좌와 권력을 향한 야망의 조선' 뒤에 숨은 순수의 시대를 그려낸 영화 '순수의 시대'는 오는 5일 개봉된다.
[배우 강하늘. 사진 = 한혁승 기자 hanfoto@mydaily.co.kr]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