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난 국제적 망신이고 정치적 테러라고 생각한다"
동국대학교 영화영상제작학과 민병록 교수가 최근 부산국제영화제를 둘러싸고 불거진 일들에 대해 이처럼 말했다.
10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부산국제영화제 미래비전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열렸다.
지난달 부산에 이어 서울에서 진행되는 두 번째 공청회로 인디스토리 곽용수 대표, 명필름 심재명 대표, 임권택 감독, 동국대 민병록 교수, 박찬욱 감독,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이 참석했다.
이날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오늘 공청회는 우리들이 부산시에 쇄신안과 미래비전을 제시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부산 공청회에 이어 하는 자리"라고 밝혔지만 부산국제영화제의 외압에 대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뤘다.
박찬욱 감독은 부산국제영화제 압박이 지난해 '다이빙벨' 상영 이후부터라며 "정치성을 부여하는 쪽은 영화제가 아니라 부산시 쪽이며 이 사태를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문제로 보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민병록 교수는 자신의 경험에 비춰 표현의 자유가 영화 발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예를 들며 "정치인들이 영화제가 영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를 한다면 이런 독립성이나 자율성을 훼손시킬 수 있는지 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명필름 심재명 대표는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 사이에서 어떠한 방안을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청회에 참석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그동안 발전적 방안이나 의견이 도출되지 않았다는 것.
영화감독 자격으로 참석한 임권태 감독과 박찬욱 감독은 독립성과 자율성이 침해당할 경우 당장 직면하게 될 문제점들에 대해 언급했다.
임권택 감독은 "영화제에 출품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이렇게 주최 측이 간섭하는 영화제에 누가 오겠나"라고 지적했다. 박찬욱 감독은 "그런 영화제라면 초청되는 것이 수치고 모욕"이라고 강조하며 영화제가 이 문제에 대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는 생각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박찬욱 감독은 어떤 훼방을 놔도 괜찮지만 영화제 프로그램에 간섭하는 것만은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또 부산국제영화제가 훼손될 경우 다시는 영화제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제가 영화계를 대표하는 사람이 아니지만 다시는 부산영화제에 가지 않을 것입니다. 제가 만든 영화도 출품하지 않을 것입니다. 영화제 기간에 가서 시민들과 함께 영화도 보고 토론도 하고, 돈도 많이 쓰게 해주십시오"
박찬욱 감독의 바람처럼 부산국제영화제가 국제적 망신을 당하지 않은채 예전처럼 영화제 본연의 기능을 해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부산국제영화제 공청회 현장. 사진 =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