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우리는 언제나 늦게 깨닫는다. 고은의 시처럼, 꽃은 올라갈 때 보이지 않고 내려갈 때 보인다. 아름다운 꽃은 우리를 기다리지 않는다. 언젠가 시간이 흘러 꽃은 진다. ‘싱글라이더’는 찬란하게 피어오르는 현재의 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먹먹한 슬픔의 감성으로 전한다. 액션, 범죄, 스릴러가 충무로를 뒤덮은 현실에서 ‘싱글라이더’는 한국영화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한떨기 꽃이다.
증권회사 지점장 강재훈(이병헌)은 미래를 위해 아내(공효진)과 아들을 호주로 유학보낸 기러기 아빠다. 부실채권을 판매해 투자자들에게 엄청난 손해를 끼친 그는 가족을 찾아 호주로 떠났다가 워킹홀리데이로 일하는 지나(안소희)를 도와주는 과정에서 충격적인 진실과 맞닥뜨린다.
각본을 쓰고 연출을 맡은 이주영 감독은 신인답지 않은 당찬 스토리텔링으로 영화를 이끈다. 과거 어느 영화의 잔상이 일렁이고, 놀라운 반전이 숨어 있지만 ‘싱글라이더’는 결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한 작품이다.
강재훈은 호주에서 아내와 아들의 일상을 관찰하는 순간부터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한다. 2년 동안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죄책감부터 주변 인물과 아내와의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질투심, 그리고 천진난만한 아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에 이르기까지 그는 돈을 버느라 잊고 살았던 가족의 진실을 목도하며 고개를 떨군다.
이주영 감독은 초반부 잔잔하게 흘러가는 이야기 속에 치밀한 복선을 깔아놓았다. 말 한 마디, 몸짓 하나, 자물쇠의 설치, 애완견의 움직임 등이 모두 반전과 연결돼 있다.
이병헌은 ‘번지점프를 하다’ ‘그해 여름’ 등의 감성연기를 더욱 절절한 심정으로 연기했다. 적은 대사 속에서 눈빛과 표정만으로 인생의 회한을 토해내는 연기가 일품이다. 그가 어느 순간 격렬한 감정에 휩싸이는 장면은 오래도록 잊히지 않을 것이다.
싱글라이더는 1인탑승객, 홀로 여행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여행은 혼자 떠날 수 있지만, 인생은 동반자 없이는 떠날 수 없는 길이다.
[사진 제공 = 워너브러더스]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