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대중이 기억하는 강동원의 이미지는 묵묵히 소신껏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는 스타가 아닐까. 지난 2003년 데뷔 이래 큰 스캔들 없이 오로지 작품으로만 이야기했던 배우이기 때문.
'공공재'라 불릴 정도로 완벽한 비주얼을 소유, 자칫 CF스타로 전락할 수도 있었지만 그가 펼친 행보는 남달랐다. 여느 톱스타들과 달리 장르 불문 다작을 마다하지 않고 때론 흥행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신인 감독들의 든든한 지원군을 자처했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돈 벌자고 영화 하는 것 아니다"고 자신 있게 신념을 밝힐 만큼 매사 진솔하고 꾸밈없는, 당당함이 돋보이는 강동원이었다.
그랬던 그이기에 이번 외증조부 이종만 친일파 논란과 관련 대응은 실망감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그간 보여온 태도와 달리, 조용히 외증조부에 대한 게시물을 지우기에 급급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격에 불과한 미숙한 대응이었다.
물론, 이에 대해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 측은 "게시물의 내용 중 사실과 다른 부분이 상당 부분 발견돼 맥스무비 측에 확인 후 게시물 삭제 요청했다"며 "문제의 게시물이 한 개인의 명예훼손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 미디어·포털· 블로그 등 2차 확산을 막기 위해 대리인 자격으로 대응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것이 연예계 3대 기획사라 손꼽히는 YG의 대처라니 씁쓸하기 그지없다. 소속 배우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역사를 은폐, 여론을 통제하려 하며 논란을 부추겼다.
YG가 문제를 삼은 게시물은 '강동원의 외증조부 이종만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1급 친일파로 위안부 창설과 유지를 위한 자금 지원 대가로 채굴권을 얻어 부를 쌓았다'는 내용이다.
이미 '강동원의 외증조부 이종만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란 내용이 명백한 사실(지난 2009년 등재됨)로 확인된 가운데 '1급 친일파', '위안부 창설 자금 지원' 등이 틀렸다고 강동원의 명예훼손을 운운하며 '삭제' 조치를 취한 건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애초부터 정정 요구로 바로잡았어야 할 문제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다고 대중이 강동원에게 연좌제의 잣대를 들이미는 것은 아니다. 조상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을 그 누가 모르겠는가. 다만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보여주라는 것이다. 더욱이 강동원은 차기작 '1987'에서 故 이한열 열사 역할을 연기하지 않는가. 이를 비롯해 향후에도 사극 등 역사물에 출연하며 우리 역사를 대중에게
"미약하게나마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실천하겠습니다"
[사진 = 마이데일리 DB]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