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마이데일리 = 허설희 기자] 배우에게 관객의 반응이 바로 오는 연극은 꽤 매력적이다. 그래서 무대를 떠나지 않는 이들도 있고, 무대를 그리워하는 이들도 있다. 스크린 및 브라운관에서 활동하던 배우 이현욱은 최근 연극 무대의 매력을 알아버렸다. 현재는 연극 ‘유도소년’을 통해 초심을 이야기 하고 있다.
연극 ‘유도소년’은 전북체고 유도선수 경찬이 1997년 고교전국체전에 출전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뜨겁고도 풋풋하게 그려낸 작품으로 초연-재연 모두 연일 매진 사례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평균 객석점유율 104%를 달성하는 등 대학로의 ‘간다 열풍’을 이끌어냈다. 극중 이현욱은 민욱 역을 맡았다.
이현욱은 작품에 대한 신뢰가 상당했다. “재밌는 극이니까 마다할 이유도 없었다”며 적극 의사를 표했다고 전했다.
“무대 공연 같은 경우는 워낙 좋아하는 것이고 저한테 엄청 도움도 많이 돼요. ‘공연만 해야지’ 이런 건 아닌데 어떻게 하다 보니까 공연 쪽에 좋은 작품들을 계속 만났어요. 도움 되는 시간인데 굳이 마다할 이유 없잖아요.”
드라마 촬영과 연습을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어려움이 뒤따랐지만 ‘유도소년’ 연습을 게을리 할 수 없었다. 12월 초부터 ‘유도소년’의 주를 이루는 운동을 먼저 했다. 힘들법도 하지만 오히려 트레이닝 시간은 1년간 운동을 못하던 그에게 소중한 시간이었다.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하고 좋아해요. 근데 1년간 못했죠. 게을러지기도 했고요. 이번 ‘유도소년’ 계기로 활력을 찾았어요. 격하고 거친 운동을 좋아해서 원래도 권투, 킥복싱을 했었거든요. 그래서 작품에 끌리기도 했어요.”
운동은 신났지만 인물 분석은 다소 어려웠다. “민욱은 어려웠다. 지금도 어렵다”며 “이걸 해결할 수 있을까 아직도 생각이 많다. 나랑 많이 달라서 그렇다”고 고백했다.
“어떻게 풀어야 될지, 하나의 도전이어서 두려움 반 기대반으로 시작했어요. 민욱이와는 표현하는 부분에 있어서 많이 달랐거든요. 극중 민욱이는 순수하고 자기의 순정 같은걸 어떻게든 표현하려고 노력하는데 전 안 그래요. 표현 안 하고 나는 혼자 정리하죠. 시도도 안 하니까 시도하는 것도 부끄러워 해요. ‘나의 순정이 이런데 아 이걸 어떻게 표현해야지’ 이게 아니라 ‘난 순정이 이래’ 이 스타일이다. 모르면 어쩔 수 없고 해요. 오히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할 수 있는데 뭔가 이 사람을 생각하면서 방법적인 걸 어떻게든 생각해보는 타입은 아닌 것 같아요.”
극중 민욱은 화영을 짝사랑하는 마음을 그려내며 관객들로부터 첫사랑의 기억을 끄집어낸다. 그러나 이현욱은 “첫사랑이 희한하게 생각이 안 난다”고 털어놨다.
“다들 민욱을 보고 첫사랑을 많이 떠올리는데 저는 첫사랑의 기준이 처음 좋아했던 사람인지 처음 사귄 사람인지 첫사랑의 기준이 애매해서 잘 모르겠어요. 민욱이 같은 상황 자체도 별로 없었고요. 전 차라리 단도직입적으로 얘기해요. 희망고문 되게 싫어하거든요. 자체적으로 희망고문 만드는 것도 싫어하고 희망고문 주는 것도 싫어해요.”
이현욱은 민욱과는 다른점이 많아 공감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전체 내용에는 공감이 간다고 했다. 그 가운데 민욱과 닮은 점을 꼽자면 의도와 다르게 나가는 것들이라고 답했다. “사람들한테 이런 의도로 얘기했는데 다른 사람한테 다르게 해석되고 엇갈림들이 있는 그런 것들이 공감됐다”고 말했다.
“작품 전체적으로는 옛날 생각이 나요. 삐삐 쓰던 시절도 생각나고 핸드폰 처음 봤을 때 놀람, 충격 이런 것도 생각났고요. 그 때는 감성적으로 예민하던 시기잖아요. 낯간지러운 손편지 쓰고 그랬던.. 지금은 ‘뭐야’ 이러는데 그 때는 아날로그적인 감성이 있었던 것 같아요. 저 역시 아날로그 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 와닿았어요.”
이현욱은 ‘유도소년’을 통해 관객과의 소통을 더욱 느끼고 있다. 인기 작품에 삼연이기 때문에 이전 캐릭터를 훼손시키거나 변질되게 하지 않을까 부담도 있었지만 걱정은 곧 접었다. 오히려 진지하게 접근하고 그 안에서 드라마적인 부분을 분석하면서 고민을 풀었다. 탄탄한 팀워크 역시 그를 도왔다.
“연극은 제게 많은 도움이 돼요. 무대에 올라가는 게 되게 도움이 많이 되거든요. 자신감, 자존감을 높여주고 연기적인 공부도 할 수 있게 해줘요. 무대에 올라갔을 때 나를 조금 객관화시켜서 느껴지기도 하니까 점검도 되죠. 여러 가지 면으로 도움이 많이 돼요. 제가 망각하고 있는 것들이 저도 모르게 피부로 와닿을 때가 있어요. 관객들을 만났을 때 순간 체크될 때가 있죠. 무대에 올라가면 고칠 것 투성이고 그걸 껴안고 내려와요. 하지만 하나하나 해결하면서 잃어버렸던 자신감과 자존감을 올려요. 확신도 많이 생겼어요. 연극은 꾸준히 하고 싶어요.”
꾸준히 초심을 잃지 않고 연기하고 싶은 이현욱에게 ‘유도소년’은 적기에 만난 작품이다. “공연이 초심, 잃어버린 열정 등을 큰 주제로 얘기하고 있다”며 작품 메시지를 전했다.
“초심과 잃어버린 열정 등을 얘기해 좋아요. 그런데 관객분들은 그걸 떠나서 공연을 보고 자신을 추억해보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어요. 그냥 너무 진지하거나 너무 가볍게 말고 딱 중간으로 오셔서 즐기고 재밌게 보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연극 ‘유도소년’은 오는 5월 14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수현재씨어터에서 공연한다.
[배우 이현욱. 사진 = 김성진 기자 ksjksj0829@mydaily.co.kr]
허설희 기자 husullll@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