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최하위 후보인가, 다크호스인가.
올 시즌 DB는 김주성의 출전시간 축소, 윤호영의 사실상 전력제외, 허웅의 군입대, 박지현의 은퇴 로 주축멤버 대다수가 이탈했다. 박병우도 부상으로 시즌 초반 출전하지 못한다. 급하게 노승준과 유성호를 트레이드로 영입했다. 그러나 핵심전력은 아니다.
두경민을 제외하면 주전으로 뛴 경험이 있는 국내선수가 전무하다. 때문에 DB는 오리온, kt와 함께 3약으로 분류됐다. 오리온과 최하위를 다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상범 감독도 무게중심을 육성과 리빌딩에 두고 시즌을 준비했다.
이 감독은 궁극적으로 KGC 시절처럼 공격적인 디펜스와 얼리오펜스를 앞세운 화끈한 농구로 정상권에 도전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순서가 있다. 리빌딩은 하루아침에 되는 게 아니다. KGC 시절 어려움을 겪어봤기 때문에 잘 안다.
우선 비 시즌에는 전통적인 수비농구와 높이농구 컬러를 지우고, 젊은 선수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데 집중했다. FA 이정현을 잡지 못했지만, 뉴페이스 외국선수 최대어 디온테 버튼을 잡았다. 우여곡절 끝에 로드 벤슨을 재영입, 골밑을 안정시켰다.
두경민에겐 에이스의 책임감을 부여했다. 적극적인 공격을 독려하되, 드리블이 긴 약점만 고쳐줬다. 두경민은 간결한 농구에 눈을 뜨면서, 버튼, 벤슨과 삼각편대를 형성했다. 이 감독은 무한경쟁을 통해 나머지 두 자리를 꾸릴 계획이다.
핵심은 두경민과 버튼이다. 왼손잡이 버튼은 양손을 모두 사용한다. 힘과 기술을 갖춘 돌파력이 돋보인다. 외곽슛과 어시스트 능력도 있다. 두 사람이 중심을 잡으면서 나머지 선수들을 적절히 활용, 팀 오펜스를 하자 DB 전력에도 틀이 잡혔다.
KCC가 15일 DB를 상대로 1대1 단발농구에 의존하는 등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었다. 그래도 DB가 우승후보를 누른 건 의미 있다. 비 시즌에 자연스럽게 구축한 공수의 틀이 실전서 효과를 발휘, 젊은 선수들이 유, 무형으로 얻은 자신감은 엄청나다. 이정현을 상대로 포스트업 득점을 올린 서민수의 발견이 가장 기분 좋은 요소.
DB는 여전히 객관적 전력상 최하위 후보다. 미스매치를 허용하는 포지션이 많고, 경험이 부족한 국내선수가 즐비하다. 팀 오펜스, 팀 디펜스를 잘하는 선수가 부족하다. 그러나 똑같은 최하위 후보 오리온보다 짜임새가 나은 측면이 있다.
오리온은 가드진과 골밑이 동시에 불안하다. 반면 DB는 두경민과 버튼의 존재감이 묵직하게 느껴진다. 두 사람을 중심으로 젊은 선수들의 롤을 늘려가는 것으로 리빌딩 방향을 잡았다고 봐야 한다. 30일 신인드래프트서 전력을 보강하고 부상자를 조심하면 순위를 몇 계단 끌어올릴 가능성은 충분하다.
물론 버튼이 KBL서 어떤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인지는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 벤슨의 세컨드 옵션 적응, 서민수 등 젊은 선수들의 애버리지 향상 등은 1~2경기만으로 평가할 수 없다. 그리고 객관적 전력이 좋은 팀들은 늦어도 시즌 중반 이후에는 반드시 치고 올라간다. 시간이 흐를수록 DB가 불리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 농구관계자는 "DB가 하위권 전력인 건 분명하다. KCC를 잡았다고 해서 우승후보가 되는 건 아니다. 그러나 고비를 넘기고 이기는 맛을 알아간다면 시즌 막판 다크호스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중, 상위권 다툼의 캐스팅보트가 될 수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DB는 하위권 후보일까, 다크호스일까. 현 시점에선 변수가 많다. 일단 시즌출발은 좋았다. 나름의 짜임새가 있었다. 중요한 건 지속성이다.
[DB 선수들. 사진 = KBL 제공]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