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3강3중이 무너질 수 있을까.
28일 개막하는 신한은행 2017-2018 여자프로농구. 농구관계자들에 따르면, 올 시즌 판도는 3강3중이다. 정규시즌, 챔피언결정전 통합 6연패에 도전하는 우리은행에 삼성생명과 KB가 강력하게 도전한다. KEB하나은행, 신한은행, KDB생명이 중위권을 형성한다.
전통적으로 여자프로농구는 시즌 전 전문가들의 전망이 크게 빗나가는 케이스가 거의 없었다. 열악한 인프라 속에서 선수이동이 적다. 주전들에 대한 의존도도 높다. 저연차들의 성장도 더디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우리은행을 제외한 5개 구단이 단기간에 우리은행의 내공을 극복하는 게 불가능하다. 1~2시즌 실패를 맛보면 코칭스태프가 교체됐다. 부작용이 반복됐다. 여자프로농구의 수준저하와 흥행 악재로 이어졌다.
그러나 올 시즌에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흔들릴 가능성도 엿보인다. 3강도 리스크를 안고 있다. 우리은행의 리스크는 그 어느 시즌보다도 크다. 동시에 하나은행, 신한은행, KDB생명의 긍정적인 요소도 있다.
물론 3중이 갑자기 우리은행을 끌어내릴 정도의 힘을 갖춘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도 삼성생명과 KB가 우리은행을 괴롭히고, 3중이 삼성생명과 KB를 괴롭히며 리그에 흥미를 유발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우리은행은 개막 직전에 외국선수 2명 모두 부상으로 합류하지 못했다. 지난 시즌 하나은행에서 WKBL을 경험한 나탈리 어천와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이해력이 높고, 위성우 감독 특유의 디테일한 지도를 통해 양지희, 이선화가 이탈한 빅맨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할 가능성이 크다. 김정은도 일찌감치 빅맨 수비 준비를 했다. 그러나 김정은은 전문빅맨이 아니다. 또 다른 외국선수 아이샤 서덜랜드의 기량, WKBL 적응도 베일에 가렸다.
삼성생명은 엘리사 토마스의 재계약으로 지난 시즌 준우승 멤버들을 지켰다. 그러나 박하나, 김한별, 허윤자, 최희진 등 주축들이 크고 작은 부상으로 비 시즌에 팀 훈련을 완벽히 소화하지 못했다. 임근배 감독은 9월 중순 한일챔피언십서 "시즌 개막 전에는 모두 합류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시즌 초반에는 조직력을 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다. 주축들의 몸 상태에 따라 경기력에 기복이 발생할 수 있다.
KB는 박지수의 존재만으로도 우리은행을 위협할만하다. 우리은행이 흔들릴 경우 골밑 강점을 앞세워 치고 올라갈 여력도 있다. 다만, 박지수가 올 시즌 얼마나 성장할 것인지가 최대변수다. 첫 시즌은 분명 기대 이상이었다. 그러나 다른 팀들도 박지수를 파악한 상태다. 이때 안덕수 감독의 대응이 관건이다. 브라질 국가대표 출신 다미리스 단타스와 박지수의 연계플레이, 돌아온 모니크 커리의 멘탈 관리도 변수다.
하나은행, 신한은행, KDB생명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 하나은행은 비 시즌을 가장 체계적으로 보냈다는 평가다. 철저한 트레이닝으로 단 1명의 부상자 없이 개개인 기술 연마, 팀 농구 접목 과정을 거쳐 전력 자체를 극대화했다. 가용자원이 늘어난 건 각종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옵션이 늘어났다는 의미. 외국선수 1순위 이사벨 해리슨과 좋은 결합을 할 경우 사고를 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다만, 여전히 주축들의 풀타임 경험이 부족한 약점은 있다.
신한은행은 카일라 쏜튼, 르샨다 그레이 등 외국선수 2명을 모두 포워드로 뽑았다. 간판스타 김단비와 함께 트랜지션 농구를 하기 위한 의도. 실제 신한은행은 빠른 공수전환에 중점을 두고 시즌을 준비했다. 쏜튼이 이미 WKBL에 적응을 마친 것도 강점이다. 다만, 가드진이 전반적으로 허약하다. 얼리오펜스가 힘을 발휘하기 위해 뒷받침돼야 하는 제공권과 수비조직력도 베일에 가렸다.
KDB생명은 돌아온 구슬이 박신자컵서 성공적으로 복귀 신고식을 치렀다. 안혜지, 진안 등 저연차들부터 노현지, 김소담 등 주전급으로 성장해야 할 자원들도 수두룩하다. 이들이 퓨처스리그, 박신자컵서 펄펄 날다 본 시즌에 외국선수들, 다른 구단 간판선수들과의 매치업에서 밀려 전력 약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는 게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새 외국선수 주얼 로이드는 개인기량이 탁월한 가드다. 이경은과의 역할분담이 변수다. 마지막으로 무시할 수 없는 또 하나. 구단의 미래에 대한 좋지 않은 소문, 전망이 파다하다. 선수들이 모를 리 없다. 심리적으로 흔들리면 와르르 무너질 수 있다.
3강3중에 균열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한 농구관계자는 "올 시즌에도 우리은행이 제일 강하다. 여전히 박혜진, 임영희 포지션의 실력 차이가 크다. 그러나 지난 시즌처럼 딱 두 번 지고 우승하는 건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막 미디어데이 장면.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