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명장 이창동 감독의 동생인 이준동은 ‘버닝’이나 ‘시’등, 형 이창동 감독의 작품을 시작으로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도희야’ 등 많은 수작에 손을 댄 한국영화계의 손꼽히는 제작자이다. 이와 동시에 장률 감독 작품 ‘경주’에서는 주인공이 끌려간 가게의 옆방에서 술을 마시는 남자를 연기한 이후 ‘필름시대사랑’, ‘춘몽’부터 최신작인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까지 항상 기용되는 ‘배우’이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장률 감독과의 만남이나 자신의 연기, 작품에 대해서 물었다.
———‘경주’에 출연하게 된 계기는?
장률 감독님이 ‘경주’를 만든 것은 저의 형이 감독을 경주에 데려 간 것이 계기였습니다. 어느 날 갑자기, 감독님이 ‘경주’에 출연해 달라고, 다짜고짜 연락을 받았습니다. 술을 마시고 테이블에 올라가는 남자가 필요하다고 하는 거에요. 감독님과는 평소에도 술친구여서 언제나 하듯이 하면 된다고 했어요. 전에 제가 제작한 ‘오아시스’에 엑스트라로 출연한 적은 있었지만, 애당초 저는 배우가 아니기 때문에 처음에는 단호하게 거절했습니다. 단지, 독립영화여서 출연료를 지불하면서 캐스팅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닌 것은 충분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마지못해 하게 되었습니다.
———촬영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처음에는 정말로 술을 마시고 테이블에 올라가려고 했습니다만 실제로는 마시지 않고 맨정신으로 촬영에 임했습니다. 당시에 24시간 촬영 태세였는데, 저와 함께 출연한 송호창씨는 새벽에 호출받고 현장으로 왔습니다. 테이크 1에서 제가 테이블에 올라가려고 하니 송호창씨가 저한테서 멀어지는 거에요. 그래서 제가 감독도 아닌 주제에 ‘좀더 몸을 테이블에 가깝게 하는 게 좋겠다’고 디렉션을 하기도 해서 다음 테이크 2에서 제대로 맞췄습니다. 연기 재능이 없는 지도(웃음).
———완성된 ‘경주’를 본 소감은?
작품은 대단히 멋지다고 생각했어요. 감독님의 작품 전체에서 일맥상통한 부분이지만 공간이나 인물, 우리들이 살고 잇는 세상을 그리는 방식이 대단히 독특하고 탁월합니다. 저는 감독님의 작품은 모두 좋아합니다. 중국에서 촬영한 감독님의 분노섞인 작품도 좋아하고, 한국이 오시고 나서는 그 분노가 진정되었다고 하기 보다는, 분노를 즐기게 된 느낌이 들어요.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그 모습을 비틀어서 훔쳐보는 그의 연출이 좋아요.
———이준동씨의 연기에 대한 연출은 어떤 것이었습니까?
출연한 영화 중에 디렉션이 필요했던 것은 ‘춘몽’정도일까요. 출연 신도 많았고, 제가 연기한 예리의 아버지의 성격에 대해 감독님과 서로 얘기했어야 했어요. 하지만 감독님이 ‘뭔가 하려고 하지마’라고 하셨습니다. 휠체어에 앉아서 비탈길을 내려 오는 신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이 남자는 비탈길에 올라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을까. 자살하기 위해서? 아니면 누군가를 밀어 떨어트리기 위한 걸까? 등 그의 심경이나 동기가 신경쓰였어요. 그것에 대해 감독님은 ‘그냥 해봐’라는 말만 하는 거에요. 감독님은 공간이나 인물 등 모든 촬영현장에서 느껴지는 것을 그리고 싶은 거라고 생각해요.
———다른 작품에도 계속 출연하셨지요.
왠지 모르게 어느 순간부터 ‘장률 감독 전속배우’처럼 되어서 다른 작품 측에서 오퍼가 들어오면 장감독님이 화를 내요(웃음). 장률 감독님의 작품에 ‘출연 안 하겠다’고 거절하면, 촬영 전날에 프로듀서가 찾아 옵니다 감독이 프로듀서를 괴롭히고 있다고 밖에 볼 수 없네요.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프로듀서의 사정을 생각해서 현장에 가게 됩니다. 하지만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에는 출연 안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마치 제가 영화에 나가고 싶어서 사정하는 것처럼 생각될 것 같아서…. 진짜 배우도 아닌데도, 부끄러워서 도망치고 싶을 정도였습니다. 감독님은 제가 출연 안 하면 불안하다거나, 영화에 사고가 생긴다고 하면서 부적처럼 저를 쓰고 있어요(웃음).
———이준동씨가 본 인간 장률 감독은 어떤 분인가요?
장감독님은 한국에서는 이제 사라진 옛날 사람의 감성을 가지고 있어요. 예를 들어서 아저씨 개그를 매우 재미있게 즐겁게 얘기할 수 있어요. 희미해져 가는 한국만의 정서가 그에게 느껴집니다. 그걸 좋아해요. 그리고 술을 좋아하는 저와 마찬가지로 매일 마시는 걸 거르지 않아요. 항상 마시면서 이야기합니다만, 그를 뛰어넘는 술친구는 없습니다. 그런 감독님이 신경쓰는 건 ‘살아가는 게 이걸로 괜찮냐?’는 영화적 질문을 계속하는 것입니다. 지금 시대에 흔치 않은 감독님입니다.
———마지막으로 ‘경주’에 대해서 코멘트를 부탁합니다.
‘경주’는 일본 관객에게 받아들여질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정확하게 그 이유는 이거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감독의 공간이나 사람, 시간을 비튼 연출을 좋아하실 거라는 느낌이 들어요. 장르적으로도 일본 분들에게 있어 익숙함이 있을 것이고, 감독님의 작품을 좋아하게 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Written by : 오다 카오리(小田 香)
김민희 min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