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를 본 관객들을 중심으로 현실 정치와 닮은 영화, 정치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영화라는 평이 이어지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의 하늘과 시간을 만들고자 했던 '세종'(한석규)과 '장영실'(최민식)의 숨겨진 이야기를 그린 영화 ‘천문: 하늘이 묻는다’가 현실 정치의 문제점을 꼬집는 동시에 시사점을 주는 영화로 관객들에게 큰 울림을 주고 있다.
영화 속엔 조선의 백성보다는 자신들의 명분과 이익을 챙기기에 여념 없는 대신들이 '세종'의 천문 사업과 한글 창제에 사사건건 반기를 드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는 기득권 지키기에 여념 없는 현실 세계의 일부 정치인들과 닮아 있는 모습으로 영화를 본 관객들로부터 "정치는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별반 다름이 없는 것 같아 씁쓸"(CGV, yg****), "본인의 안위만을 생각하는 정치하는 사람들이 요즘도 너무 많은 듯"(CGV, 허****), "현 시대의 청와대와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이 보고 느끼는 바가 있었으면"(CGV, ha****), "권력만을 좇는 정치인이 난무하지 않길. 국민을 생각하는 정치를 하는 이가 많아지길. 옛날이나 지금이나ㅠㅠ"(CGV, zoe*****), "역사가 현실과 너무도 같음이 가슴 아프다"(네이버, ji****) 등의 평이 이어지고 있어 이목을 모은다.
이에 "이 영화는 있을 법한 이야기 속에서 진정한 애민이 무엇인지, 누구를 위한 정치를 해야 하는지 현재의 우리에게 보여준다"(CGV, kw****), "어진 주군은 신하를 어떻게 섬겨야 하는지, 신하는 그 주군에게 어떻게 신명을 바쳐야 하는지 보여주는 영화"(CGV, 길잃은****), "나라를 이끄는 진정한 지도자의 모습"(CGV, ki****) 등 영화 속 '세종'의 강력한 카리스마를 기반으로 한 리더십이 덩달아 화제가 되고 있다.
극 중 '세종'은 언제나 백성을 가장 먼저 생각하고, 신분에 관계 없이 '장영실'을 등용하는 등 위대한 성군으로서 그의 리더십이 영화를 본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관객들이 영화를 보며 정치인과 대통령의 덕목을 논하게 된 원인에 대해 세종리더십 연구소 박현모 교수는 "백성들의 먹고 사는 문제, 전쟁 걱정 없이 일상의 기쁨을 누리도록 노력한 지도자로서의 '세종'의 모습이 영화 속에 잘 나타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세종'이 리더십을 발휘 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첫째, 경청하는 자세이다. 영화에서나 실록에서나 '세종'은 '장영실'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을 낮은 자세로 들었다. 둘째, 그 꿈과 계획을 실행하는데 장애물은 무엇인지, 뭘 도와주면 좋을지 두루 살폈다. 셋째, 그 일의 가치에 공명하고 입을 열어 인정해주었다. 예를 들어 영화에도 나오듯 '세종'은 "이 일(자격루)은 '장영실'이 아니면 불가능했다"라고 '장영실'을 격려했다.
이 같은 자세는 600년의 시간을 뛰어넘고, 동서양을 막론하고 통용되는 리더십의 철칙이다"라고 설명하며 세종의 리더십이 현 시대에 시사하는 바를 전해, '세종'의 리더십을 볼 수 있는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을 배가시키고 있다.
현실 정치의 문제를 꼬집는 '세종'의 강력한 리더십이 돋보이는 영화 ‘천문: 하늘에 묻는다’는 현재 전국 극장에서 절찬 상영 중이다.
[사진 제공 = 롯데엔터테인먼트]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