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일반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넷플릭스가 망 사용료 갈등, 요금제 인상 등 이슈들에 대해 말했다.
넷플릭스는 19일 오후, '2022년 한국 콘텐츠 라인업 발표' 비대면 화상 Q&A 세션을 진행했다.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총괄 VP 강동한이 참석했다.
이날 강동한 VP는 최근 넷플릭스의 요금제 인상에 대해 "2016년 이후 첫 번째 요금 인상을 했다. 요금 인상은 예민하게 받아들여지는 부분이니까, 힘든 결정이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넷플릭스는 많은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시청자들에게 그만큼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하고 있다. 더 열심히 하고 있으니까, 앞으로 지켜봐 달라"라고 전했다.
'망 사용료 무임승차' 논란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강동한 VP는 "제가 콘텐츠 총괄이라 망 사용료 부분에 관해선 잘 답변드릴 수 있는지 모르겠다. 최대한 성실히 답변드리자면 망 사용료는 저희가 굉장히 다른 지점에 있지만 여러 스트리밍 서비스와 ISP(인터넷서비스사업자)는 상호보완적으로 서로 없으면 안 되는 존재이다. 저희 역시 그 부분을 너무나 다들 이해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앞으로도 논의를 해나갈 거다. 포커스는 공동의 고객들을 위한, 최대한의 가치를 전하는 것으로 가고 있고 그렇게 되도록 논의하고 있다"라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망 사용료 지불과 요금제 인상의 연관성에 대한 궁금증엔 "망 사용료에 대한 내부적 논의와 요금제 인상 논의는 별개의, 다른 부분이라 얘기가 되고 있지 않다"라고 밝혔다.
또한 콘텐츠 흥행에 따른 제작사에 추가적인 보상 문제에 대해선 "매일매일 고민하는 지점이다. 넷플릭스는 월정액으로 무제한으로 즐기는 서비스라 콘텐츠 하나하나의 성패를 정량적으로 책정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하지만 하나 약속드릴 수 있는 건 PPL 등에 제한받지 않고 좋은 콘텐츠, 원하는 크리에이티브 비전을 위한 제작비를 100% 지원한다는 거다. 흥행하는 콘텐츠에 관해서도 자연스럽게 다음 프로젝트 진행 때 충분히 보상이 반영되어 이뤄질 예정"이라고 답했다.
더불어 강동한 VP는 "올해 부담감보다 기대에 차 있다. 지난해는 정말 꿈만 같은 한 해였다. 넷플릭스가 한국에 들어와 한국 생태계와 협업한지 수 년이 지났는데 작년같이 이렇게 두드러지게 '오징어 게임'은 말할 것도 없고 '지옥' '마이네임' '고요의 바다' 등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사랑을 받은 건 처음"이라며 "한국 콘텐츠를 접한 전 세계 회원들의 시청 시간이 2019년 대비 6배 이상 늘었다는 게 전에는 경험해 보지 못한 엄청난 성과이다"라고 총평했다.
넷플릭스는 올해 25편 이상의 새로운 한국 오리지널 작품들을 선보일 계획. 이에 대해 강동한 VP는 "넷플릭스에게 한국 콘텐츠는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너무나 중요한 콘텐츠다. 넷플릭스뿐만 아니라 모든 OTT 서비스에 그러하다"라며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대중문화 중심에 실제로 섰다라고도 얘기할 수 있겠다. 그만큼 중요한 의미이고 넷플릭스에서 내부적 평가나 위상도 자연스럽게 올라갔다"라고 짚었다.
이어 "한국 콘텐츠는 넷플릭스가 들어오기 전부터 너무너무 훌륭했다.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을 수밖에 없는 그런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넷플릭스의 올해 한국 콘텐츠 투자 규모는 정확하게 말씀드리기 힘들지만, 지금까지는 1조 원 이상을 투자했었다. 작년 한 해만 해도 5,000억 원이 넘는다. 그리고 작년엔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가 다섯 작품이었는데, 올해 한국 콘텐츠 라인업은 25개 발표했다. 이 부분에서 충분히 투자 금액을 유추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라고 이야기했다.
OTT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지만, 강동한 VP는 "넷플릭스만의 차별화 전략은 많다. 경쟁 환경 안에서도 자신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넷플릭스는 한국 생태계와 함께 발맞춰 라이센스도 하고 제작도 하고 여러 가지 모델로 협업한 지 벌써 6년이 지났다. 그때는 한국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고 시작했지만, 지금은 가능성을 넘어 예상을 훨씬 뛰어넘어선 인기와 사랑을 받고 있다. 그간의 궁합을 보면 한국 생태계와 가장 합을 잘 맞춰 같이 커 나갈 수 있는 OTT가 바로 넷플릭스이지 않을까 싶다"라고 내세웠다.
[사진 = 넷플릭스]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