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KB는 중요한 테스트를 했다. 정규경기 우승을 확정한 상황. 우리은행을 상대로 반드시 필요해 보였다. 역시 우리은행은 강했다.
KB는 중요한 실험을 감행했다. 올 시즌 3-2, 2-3 매치업 존은 박지수의 강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감추면서 빅히트를 쳤다. 박지수의 느린 발을 스피드와 스크린으로 가장 잘 공략해온 팀이 우리은행이었다.
그런 우리은행을 상대로 KB는 1~2쿼터에 매치업 존을 배제했다. 신한은행 등 신장이 작은 팀들에는 스위치디펜스를 많이 써오긴 했다. 그러나 빅맨만 없을 뿐 평균신장이 높고 스피드까지 갖춘 우리은행을 상대로는 위험했다.
하지만, KB는 스위치를 했다. 김완수 감독은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에 대비, 특히 우리은행을 상대로 수비 옵션을 더 가져갈 수 있는지 시험하는 듯했다. 역시 우리은행은 스페이싱의 최강자다. 파이브 아웃 대형에, 기본적인 드라이브 인과 킥 아웃 패스는 물론, 스크린과 패싱게임을 통한 외곽슛 찬스를 가장 잘 만드는 팀. 여기에 최근 박지현의 볼 핸들링 비중을 높이며 박혜진의 부담을 덜어주는 작업을 한 상황. 우리은행은 초반부터 박혜진 김소니아 홍보람 김정은의 3점포 대폭발로 주도권을 잡았다.
그러나 KB는 올 시즌 정말 달라졌다. 선수기용 폭만 넓어진 게 아니라 공격에서 무수한 옵션이 생겼다. 오프 더 볼 무브가 상당하고, 볼 없는 선수들의 다양한 컷인과 패싱게임으로 다양한 찬스를 낸다. 강이슬은 끊임없는 움직임으로 수비의 혼란함을 유도한다. 염윤아의 연결고리 역할은 효율 만점이다.
결국 박지수와 강이슬을 중심으로 점수를 만들었고, 염윤아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했다. 때문에 경기흐름은 대등했다. 그런데 3쿼터 시작 1분20초, 1분13초만에 중대 변수가 발생했다. 강이슬과 박지수가 잇따라 발목에 부상하며 빠진 것. 두 사람은 3쿼터 내내 다시 뛰지 않았다.
KB는 허예은-심성영 투 가드에 김소담을 넣었다. 사실상 스몰라인업. 염윤아가 부지런히 스크린을 걸며 가드들의 선택지를 늘려줬다. 그러나 전체적인 활동력에서 우리은행을 압도하지 못하며 끌려갔다. 우리은행은 트랜지션을 더 강하게 했다. 박혜진과 김소니아의 위력적인 마무리가 돋보였다. 10점 내외까지 도망갔다.
결국 KB의 실험은 중단됐다. 4쿼터에 박지수와 강이슬이 재투입됐고, 이미 3쿼터부터 매치업 존을 사용했다. 대신 공격은 잘 풀렸다. 박지수와 김소담의 하이&로, 오프 더 스크린을 활용한 옵션까지. 서서히 추격하며 다시 6점차까지 진입.
승부처가 다가오고 있었다. 확실히 박지수와 강이슬은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 박지수는 우승을 확정한 삼성생명전서도 갑자기 햄스트링 통증으로 뛰지 못했다. 1분여전 3점 플레이로 3점차 추격. 포스트업을 활용한 클래식한 공격. 가장 확실한 무기였다.
우리은행은 김소니아의 스크린을 받은 최이샘의 중거리포. KB의 스위치도 괜찮았지만, 최이샘의 대응이 더 좋았다 이후 KB가 다시 박지수의 골밑 득점을 올렸다. 남은 시간은 21.8초. 우리은행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 KB는 하프라인 프레스로 승부했지만, 우리은행의 패싱게임은 안정적이었다. 결국 12초 남기고 박지현의 자유투 2개로 승부를 갈랐다.
KB가 다소 어수선한 상황이었지만, 우리은행은 최근 다시 공수조직력, 응집력을 많이 끌어올린다. 박지현의 볼 핸들링, 효율적인 스페이싱과 스위치디펜스가 돋보인다. 반면 KB의 필요했던 테스트는, 확실한 답을 내지 못했다. 시도 자체는 의미 있었다.
아산 우리은행 우리원은 26일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삼성생명 2021-2022 여자프로농구 5라운드 원정경기서 청주 KB 스타즈를 79-74로 이겼다. 5연승하며 17승8패로 2위를 지켰다. 우승을 확정한 KB는 14연승을 마감했다. 23승2패.
[우리은행 선수들. 사진 = WKBL 제공]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