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BBNews]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3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을 누르고 세계 공급망 최대 악재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팀 우이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글로벌 공급망이 직면한 최대 리스크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유행)에서 러시아-우크라 군사분쟁과 이로 인해 초래된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로 초래된 위기가 "많은 산업에서 기업들이 처한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할 것"이라면서 에너지 자원 의존도가 높은 산업의 경우 더욱 그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시아는 석유, 천연가스, 팔라듐, 밀 등 많은 원자재를 수출하는 자원 부국이고, 우크라이나 역시 밀과 네온가스 등의 주요 수출국이다.
그런 두 나라 간에 전쟁이 벌어지면서 국제유가는 100달러를 웃도는 수준으로 치솟았고, 유럽 내 천연가스 가격도 사상 최고 수준을 보인다.
이런 상황은 러시아에 천연가스의 40% 이상을 의존하는 유럽 경제에 상당한 타격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전 세계 석유화학산업에 원가 상승 압력을 가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디스는 세계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 역시 러시아-우크라 위기의 영향으로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가 반도체 생산 핵심 원자재인 팔라듐 전 세계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는 이유에서다.
우크라이나 역시 반도체 생산에 쓰이는 희소가스인 네온의 70%를 생산하고 있다.
우이 이코노미스트는 "수개월 안에 (전쟁을 끝내는) 합의가 중재로 도출되지 않는다면 반도체 부족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는 자동차와 전자제품, 스마트폰 등을 생산하는 기업에 큰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에너지 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으로 꼽히는 운수산업 역시 비용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