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 /YTN 방송화면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과거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을 지낸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강성 지지자들 이른바 '개딸'(개혁의 딸)들의 '수박' 색출 논란과 관련해 "사심을 버리고 국민을 위해 결단할 줄 아는 정치인만이 최후의 승자가 되더라. 내 조언만 계속 따랐다면 민주당은 지금 쯤 장기 집권 각이겠지"라면서 "대부분 정치인은 눈앞의 이익에 눈이 멀어 내 조언을 무시해 선거에 패한다. 민심을 얻는 길은 험난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타임스에 따르면 조기숙 교수는 5일 '여론과 민심의 차이, 민심은 수박(?) 편이다!'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국민의힘은 물론 민주당 당내 싸움이 점입가경이다. 이런 사태를 진즉 예견하고 이재명 대표가 선제 해결에 나섬으로써 국회 표결을 피하라는 내게 민주당에 해가 되는 글을 왜 쓰냐고 묻는 사람이 있었다. 입에 쓴 약은 해가 된다는 단순한 사고가 문제지 나는 노무현 후보에게도 쓴 약을 처방해 당선에 도움을 줬다. 내가 청와대에 오고초려 끝에 불려간 이유도 당선 시켰으니 책임지라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강권 때문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교수는 "차이점이라면 내게 무차별 언어폭력을 가하는 이 대표 지지자와 달리, 노 후보에게 후보직 사퇴하고 정몽준과 단일화 하라는 내게 극소수 반발은 있었지만 '조 교수를 믿고 지켜보자'는 신중론이 노사모의 대세였다는 점"이라며 "내가 조언한다고 정치인이 다 듣는 건 아니다"라고 운을 뗐다.
그는 "민주당 내분은 이탈표가 다양성 차원에서 관용할만한 행동인지, 징계할 일인지에 대한 시각 차에서 비롯된다. 혹자는 이탈표가 밥그릇 욕심으로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렸다'고 질타한다"며 "방탄국회가 정의이며, 국민의 뜻이란다. 나는 국민의 뜻인 민심만 40여년간 연구해봤지만 이건 동의하기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틀렸다. 다만 다수가 잘못된 생각을 할 때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 서로 관용하라 했던 것"이라고 이재명 대표에 대한 '방탄 국회' 논란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어 "왜 방탄국회는 정의도 아니고, 국민의 뜻도 아니라고 나는 단언할까. 민주주의는 다수결 싸움이고 양당이 싸울 때 중도·부동층이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준다"면서 "다수의 공론이 민심이고, 민주주의엔 민주주의 말고는 영원한 정의도, 민심도 없다. 민심은 일정 기간 국민의 집단지성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체포동의안에 대한 최초의 여론조사는 지난 해 9월 MBC 스트레이트 뉴스가 실시했다. '야당 대표에 대한 정치 탄압' 51.0%, '진실과 정의를 규명하는 수사 절차' 43.1%"라는 MBC 결과를 공유한 한 페친에게 나는 '이건 공론이 아니라 여론조사 결과라 며칠 후면 뒤집힐 것'이라는 댓글을 남겼다"며 "보통 여론이 공론화되는데 최소 3일이 걸린다. 여론조사를 그대로 믿으면 낭패를 당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3~4일 후 이번엔 MBC 뉴스데스크가 비슷한 설문을 실시해 정반대의 결과를 얻었다. '야당 대표에 대한 표적수사로 문제가 있다고 본다' 42.4%, '법적 절차에 따른 것으로 표적 수사는 아니라고 본다' 52.3%가 나온 것"이라며 "○○○○○(언론사명)은 이 결과가 다른 조사방식에서 초래됐다고 진단했는데 내 생각은 이것이 바로 여론과 공론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그 이후 여론조사는 방식과 무관하게 흔들리지 않고 이 추세를 이어왔다. 공론조사 결과만이 민심이라 주장하는 이유는 내가 과거에 쓴 페북 글을 참고하시라"고 제언했다.
그는 "내 편이면 무조건 보호해야 된다는 건 조폭들에게나 통하는 정의다. 민주당이 지난 총선 이후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명분이 중요한 정치에서 조폭의 정의를 신봉했기 때문이라고 나는 진단한다"며 "나는 이 대표의 선거법 위반 조사가 불공정하다는 주장에 공감하고, 대장동 관련 구속수사가 필요하다는 검찰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지만, 계속해서 방탄 국회 할 명분은 없다고 본다. 의원이 판사는 아니지 않은가. 게다가 이 대표는 의원 개인의 형사사건으로 방탄할 특권을 폐지하겠다는 공약까지 내걸었다. 그게 다른 선진국의 추세이기도 하다"고 이 대표의 입장에 동의하고, 검찰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지만 '방탄 국회'는 옳지 않다고 봤다.
이어 "국회 표결 후폭풍으로 민주당 지지도는 29%까지 떨어졌다. 그런데도 혹자는 이 대표가 구속돼도 공천권 포기하지 말고 암세포를 도려내란다"면서 "자기 뜻이 국민의 뜻이라고 곡해하며 이 대표가 죽는 길로만 이끄는 지지자라니…이성을 잃고 망상에 사로잡힌 지지자들은 리더를 벼랑 끝으로 내몬다. 중요한 선거에서 세 번 연속 패하고도 정신을 못 차렸다면 앞으로도 민주당은 기대 난망"이라고 현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도 "지지자들에게 폭주를 멈춰달라고 호소하는 이 대표가 아직까지는 유일한 민주당의 희망인 것 같다"며 "위의 MBC 뉴스데스크 조사에서도 이 대표에 대한 기대감을 묻자 '긍정적 기대' 57.9%, '부정적 기대' 36.6%로, 긍정 기대치가 더 높게 나왔다. 검찰의 조사는 받아야 하지만, 이 대표에 대한 기대를 접은 건 아니라는 게 민심이다. 하지만 이 기대는 점점 떨어지고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지하는 정치인의 확장성 가로막는 건 '진정한 지지'가 아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퇴임 즈음 인터뷰에서 했던 말이다. 지금 이 대표가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호소해야 할 말"이라고 이 대표에 뼈 이는 조언을 건네기도 했다.
강성 지지층인 '개딸'은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수박 살생부 명단' 등을 만들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개딸 중 일부는 직접 의원 측에 문의해 가결표를 던졌는지, 부결표를 던졌는지 전수조사까지 했다. 찬성·기권·무효표를 던진 의원들을 색출해 차기 총선에 공천 받지 못하도록 심판하겠다며 압박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이 대표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내부를 향한 공격이나 비난을 중단해 달라"며 "이건 상대 진영이 가장 바라는 일"이라고 밝혔다.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에서의 대규모 이탈표 사태 이후 개딸 등을 중심으로 '비명(비이재명)계'에 대한 공격이 격화하면서 내홍이 고조되자 자제를 당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우리 당 몇몇 의원님들에 대한 명단을 만들고, 문자폭탄 등의 공격을 하는 일이 벌어진다"며 "제명 요청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을 매우 엄중히 지켜보고 있다"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어 "시중에 나와 있는 명단은 틀린 게 많다"며 "5명 중 4명이 그랬다고 해도, 5명을 비난하면 1명은 얼마나 억울하겠느냐. 자신이 한 일도 아닌데 누명을 당하는 심정을 누구보다 제가 잘 알지 않느냐"라고 문제의식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간질에 유효한, 전혀 사실과 다른 명단까지 나도는 것을 보면 작성 유포자가 우리 지지자가 아닐 가능성도 커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