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베트남 총리 만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베트남 성공이 곧 삼성 발전"
찐 총리 3일 삼성 사업장 방문…삼성, 베트남 공장에 향후 3년간 집중투자 계획
베트남 총리, 정의선·신동빈·조현준·조현상·김기문 등 연쇄회동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방한 중인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를 잇달아 만나며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일 재계와 베트남 관보 VGP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찐 총리와 만나 경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회장은 "삼성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기업으로 항상 베트남과 동행하겠다"며 베트남과의 협력 의지를 다졌다.
또 이 회장은 2022년 12월 하노이에 있는 삼성전자 연구개발(R&D)센터 개소식때 찐 총리가 참석해준 데 대해 감사를 표하며 베트남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하노이 R&D 센터의 활동을 강화할 것 등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찐 총리는 "수차례 이뤄진 삼성 경영진과 베트남 총리와의 회동을 주목한다"면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베트남의 삼성 R&D 센터가 성공 사례"라고 평가했다.
현재 삼성의 베트남 누적 투자금은 224억 달러(31조원)로, 베트남 현지에서 9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공장을 글로벌 최대 규모의 스플레이 모듈 생산기지로 만들기 위해 향후 3년간 집중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
찐 총리는 3일에는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둘러볼 예정이다. 전영현 디바이스솔류션(DS) 부문장(부회장)이 총리 일행의 수행을 맡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기업 총수들은 '포스트 차이나'로 불리는 베트남과의 협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지정학적 갈등이 심화하자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고 있고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우면서 청년층 인구가 많은 베트남은 '포스트차이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한국은 베트남에 투자하는 146개 국가 중에서 1만여개 프로젝트에 총 87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 최대 투자국이다.
찐 총리는 전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과도 개별 면담을 갖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베트남 관보는 찐 총리가 정 회장에게 현대차그룹이 베트남 자동차 발전을 위해 전문 인재를 키울 교육 프로그램과 새로운 기술에 집중 투자해 달라교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정 회장은 베트남 투자 계획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찐 총리는 같은 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만나 스마트 도시 개발과 관광 분야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또 조현준 효성 회장,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등 효성 주요 경영진과도 만나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을 비롯한 중소기업 대표단도 찐 총리와 간담회를 갖고 양국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베트남 주재원 비자 발급 애로 해소, 여름철 전력 공급 불안정 해소 방안 마련 등을 요청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88%가 중소기업이고 한국과 상호 보완적인 경제 협력관계에 있는 베트남 팜 민 찐 총리님의 방한을 계기로 한 ·베 투자협력 포럼을 11월 베트남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