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김도영/KIA 타이거즈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트리플 스리는 예약인가.
KIA 타이거즈 김도영(21)이 3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전서 1회초 리드오프 솔로포로 시즌 23번째 홈런을 신고했다. 삼성 좌완 이승현에게 풀카운트 끝 7구 131km 커터를 힘차게 잡아당겨 비거리 130m 솔로포를 생산했다.
김도영/KIA 타이거즈
김도영은 2일 대구 삼성전서 런다운 플레이 실수로 이범호 감독으로부터 문책성 교체를 당했다. 이후 홈런을 쳤으나 교체를 피하지 못했다. 수비에 대한 부담, 스트레스를 안고 뛰지만 공격은 더 이상 말할 게 없다. 80경기서 317타수 108안타 타율 0.341 23홈런 77득점 25득점 출루율 0.621 장타율 0.405 OPS 1.026 득점권타율 0.321.
1997년 이종범, 1999년 이병규, 제이 데이비스, 홍현우, 2000년 박재홍, 2015년 에릭 테임즈에 이어 3할-30홈런-30도루를 충분히 할 수 있을 듯하다. SBS스포츠 이순철 해설위원이 2023시즌 KIA 경기를 중계할 때부터 이 얘기를 했다. 불과 1년만에 현실화될 전망이다.
좀 더 힘을 내면, 2015년 테임즈 이후 최초로 40-40도 도전 가능할 전망이다. 40-40은 여전히 꿈의 고다. 장담은 할 수 없다. 그래도 언젠가 국내 타자가 최초로 성공한다면 가장 가능성 큰 주인공은 김도영이다. KBO리그에 그 정도의 운동능력과 재능을 가진 선수가 없다.
그런데 알고 보면 트리플 스리에 성공한 6명의 타자도 2명씩 세분화할 수 있다. 김도영이 올해 2000년 박재홍과 2015년 테임즈를 잇는다면 대박이다. 1997년 이종범과 1999년 이병규가 다른 한 부류, 1999년 데이비스와 홍현우가 또 다른 한 부류다.
2000년 박재홍과 2015년 테임즈는 3-30-30에 그치지 않고 100타점과 100득점도 달성했다. 3-30-30-100-100인 셈이다. 테임즈는 엄밀히 말하면 KBO리그 42년 역사에 유일한 3-40-40-100-100이다. 이러니 MVP는 당연했다.
김도영이 3-30-30을 깔고 100타점과 100득점까지 해낼 수 있을까. 아주 어려운 관문이다. 1997년 이종범과 1999년 이병규는 100득점을 했으나 100타점은 못했다. 이병규는 딱 1타점이 모자랐다. 반대로 데이비스와 홍현우는 100타점을 했으나 100득점을 못했다. 홍현우는 딱 1득점이 부족했다.
올해 김도영은 어떨까. 80경기서 60타점에 77득점이다. 꾸준히 2~3번 타순에 배치됐음에도 타점이 의외로 아주 많은 편은 아니다. 득점권타율도 0.321로 좋지만, 결국 하위타선과 리드오프의 출루가 활발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100타점은 3-30-30 달성보다 훨씬 더 어려운 미션일 수 있다.
반면 100득점은 충분히 가능할 전망이다. 동료들의 도움이 필요한 타점과 달리 온전히 본인의 힘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루를 열심히 하고, 건강하게 잘 뛰면 된다. 2위 멜 로하스 주니어(KT 위즈, 63득점)에게 14개 차로 앞서간다. 이변이 없는 한 득점왕 1순위이기도 하다.
김도영/KIA 타이거즈
김도영이 꿈의 3-30-30-100-100을 할 수 있을까. 메이저리그에서도 쉽게 나오는 기록이 아니다. 이걸 해내면는 순간 ‘탈 KBO’를 인정받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KBO리그에서도 2000년 박재홍과 2015년 테임즈밖에 못했다. 참고로 박재홍은 데뷔 첫 시즌이던 1996년에도 30홈런 36도루 108타점을 해냈으나 타율 0.295, 75득점에 그쳤다. 그 아픔을 4년만에 보란 듯이 씻었다. 그러나 이후 영광을 재현하지 못했다.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