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24년 만에 기업광고 공개한 LG전자
종합편·모빌리티 솔루션·에어 솔루션 등 총 3편 공개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 ·B2B·신사업 등 신성장 동력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LG전자가 24년 만에 개별 제품이 아닌 기업 광고를 선보인다고 29일 밝혔다.
LG전자에 따르면 이번 광고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 여정을 '공간과 미래의 연결'이라는 키워드로 풀어 영상으로 전달한다. LG전자는 지난해 7월 미래 비전 선포를 통해 사업 체질을 바꾸고, 사업 영역을 모빌리티, 비즈니스 공간 등으로 확장해 혁신과 성장을 이뤄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업 광고 캠페인은 총 3편으로 구성됐다. 26일 처음 종합편을 공개한 데 이어 모빌리티 설루션편, 에어 설루션편이 차례로 공개될 예정이다.
종합편에는 LG전자의 모빌리티 설루션, 공감지능(AI) 스마트홈 설루션, webOS 설루션, 냉난방공조(HVAC) 설루션 등이 소개됐다. 모빌리티 설루션편에서는 가정에서의 경험을 이동 공간으로 확장하는 내용과 전기차 충전 사업을 집중 조명한다. 에어 설루션편에서는 칠러, 히트펌프 등 HVAC 기술을 소개한다.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한 지 1주년을 맞은 LG전자는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미래 비전 실현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미래 비전 실현을 위해 △B2B(전장, HVAC 등) △플랫폼 기반 서비스 사업(구독, webOS 기반 광고·콘텐츠 등) △신사업(전기차 충전 등) 등 신(新)성장 동력 3대 축을 바탕으로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
LG전자 전장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지난해 매출 10조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2분기에는 매출액 2조6919억원, 영업이익 817억원을 기록해 전 분기 통틀어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고효율 칠러 등을 앞세운 상업용 HVAC 사업도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LG전자는 HVAC 솔루션을 앞세워 데이터 센터 등 AI 인프라에 해당하는 후방산업을 공략하고 있다.
LG전자는 제조·생산 데이터와 노하우에 AI, DX(디지털 전환) 등을 접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화하기도 했다.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생산 컨설팅, 공법/장비 및 생산운영시스템 개발, 생산기술 인력 육성 등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운영 노하우와 기술력을 외부에 공급하는 사업으로, 올해 LG전자가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는 3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전장과 HVAC 사업 등 기업 간 거래(B2B) 분야에서 균형 잡힌 성장을 이어가며, LG전자의 B2B 사업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35% 수준을 기록했다.
새로운 사업 방식에서도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의 경우 지난해 리스 실적과 케어 서비스 실적을 합친 총 매출이 1조1300억원을 넘어서며 유니콘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더해 webOS 기반 광고/콘텐츠 사업도 TV에서 IT,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모수(母數)를 확대하며 올해 조 단위 이상 매출을 실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판매 시점에만 매출과 수익이 발생하던 기존의 제품 중심 사업에서 구독, 콘텐츠, 서비스 등 무형(Non-HW)의 사업을 통해 수익을 지속 창출하는 순환형(Recurring) 모델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는 데에 속도를 낸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