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가화제
[마이데일리 = 김하영 기자] 제45회 청룡영화상은 한국 영화계의 화려한 축제 속에서도 논란과 아쉬움이 교차한 장이었다. 정우성의 혼외자 논란에 대한 정면 돌파, 동료 배우들의 상반된 반응, 그리고 고인을 기리는 추모 전통의 부재가 주된 화제였다.
지난 2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홀에서 제45회 청룡영화상이 개최됐다. 배우 한지민과 이제훈이 새로운 진행자로 발탁돼 시상식을 이끌었다.
이날 가장 주목받은 건 정우성이었다. 정우성은 최근 불거진 혼외자 논란에 대해 침묵을 유지하다가, 이번 청룡영화상을 통해 첫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레드카펫을 건너뛴 그는 최다 관객상 시상자로 무대에 올랐다. 정우성은 "오늘 영화 서울의 봄과 함께했던 모든 관계자들에게 나의 사적인 일이 영화에 오점으로 남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다"고 언급하며 "모든 질책은 내가 받고, 아버지로서 아들에 대한 책임을 끝까지 다할 것"이라는 심경을 밝혔다.
이후 그는 작품상 수상으로 다시 무대에 올랐지만, 논란을 의식한 듯 미소를 보이지 않았다. 동료 배우들의 응원 속에서도 그의 무거운 표정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정우성의 등장 이후 카메라에 포착된 동료 배우들의 반응은 대중의 이목을 끌었다. 같은 소속사 배우인 임지연은 밝은 표정으로 박수를 보냈고, 환호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반면, 옆자리에 앉은 혜리는 다소 경직된 표정으로 일관하며 상반된 태도를 보여 논란을 키웠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갑론을박을 벌였다. 일부는 임지연의 반응을 "사회생활의 일환"으로 이해하며 "직장 상사이자 선배에게 무표정으로 있을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옹호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응원까지 할 일인가", "그들만의 세상"이라며 비판을 쏟아냈다. 혜리의 반응 역시 "공감 간다"는 의견과 "그저 멍하니 있던 것 아니겠느냐"는 해석으로 나뉘며 화제가 이어졌다.
화려한 수상식 속에서 특히 눈에 띄었던 것은 고인을 기리는 추모 순서가 사라진 점이다. 과거 청룡영화상은 한국 영화계에서 별이 된 인물들을 기억하는 장면으로 감동을 전하곤 했다.
2017년에는 고 김주혁, 김지영, 윤소정, 김영애를, 2018년에는 고 신성일을 추모하며 시상식의 깊이를 더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해 타계한 고 변희봉과 올해 세상을 떠난 올해 고 김수미를 기리는 자리가 마련되지 않아 실망감을 남겼다.
변희봉은 영화 '괴물'에서의 명연기로 유해진, 오달수, 이범수 등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2006년 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을 받았고, 대중문화예술 공로로 2020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김수미는 2011년 ‘그대를 사랑합니다’에서 장군봉(송재호)의 아내 역으로 열연해 여주조연상을 거머쥐었다. 특히 김수미는 수상 직후 "'내가 받을 만하죠?’ 나는 기회가 별로 없다. 밤새우면 그다음 날 못 일어난다. 좀 봐줘라. 내가 늙어서 메이크업하기 힘든데 해줘서 고생하는 스태프들 고맙고 나 없이 혼자 밥 차려 먹는 영감님도 고맙다. 쓰러질 때까지 열심히 하겠다. 탕웨이 씨 여우주연상 수상하길 바란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냄과 동시에 관객들의 큰 박수를 받았다.
두 사람 모두 청룡영화상과 인연이 깊었던 만큼, 영화 팬들과 대중들에게 더 큰 아쉬움을 안겼다.
청룡영화상은 매년 한국 영화계의 발전을 축하하고 새로운 역사를 기록해 왔지만, 이번 행사에서 선배 영화인들을 기리는 전통이 생략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수상자들의 소감이나 동료 배우들의 반응은 개인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지만, 영화계의 유산을 존중하는 모습은 모든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가치다.
한국 영화의 화려한 미래를 조명하면서도, 그 기반이 되어준 이들을 기리는 마음을 잊지 않는다면 청룡영화상은 더욱 뜻깊은 행사가 될 것이다.
김하영 기자 hakim010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