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좋은 선수들과 함께 팀에 헌신했다."
KCC는 안드레 에밋의 팀이다. 에밋이 뛰어난 에이스인 건 분명하다. 리드미컬한 드리블과 페이크 기술로 페인트 존 득점력이 좋다. 수비수가 떨어질 때 시도하는 세트슛 적중률도 높다. 에밋이 KCC를 상위권으로 이끌었고, 앞으로도 중심을 잡아야 하는 건 변함 없는 팩트다.
그런데 에밋은 공 소유시간이 길다. 공을 갖고 있어야 위력이 극대화되는 스타일이다. 효율적으로 팀 오펜스에 가담할 때도 있다. 그러나 아닐 때도 있다. 이게 KCC의 고민이다. 에밋이 팀 오펜스에 가담하지 않고 겉돌면, 이정현 이현민 전태풍 송교창 송창용 하승진 등 국내선수들의 위력이 뚝 떨어지는 부작용이 생긴다.
때문에 에밋이 빠졌을 때 오히려 국내선수들과 찰스 로드를 앞세운 팀 오펜스가 극대화되면서 에밋의 파괴력 이상으로 힘을 낼 때가 있다. 5일 KGC전이 대표적이었다. 에밋은 3일 김진용과 1대1 연습을 하다 왼쪽 발목을 다쳤고, 결장했다.
에밋이 없는 KCC 팀 오펜스는 날카로웠다. 이정현과 이현민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스페이싱 게임, 패스 게임을 했다. 송교창은 볼 가진 시간이 길어지면서 특유의 위협적인 속공 마무리와 드라이브 인 능력을 과시했고, 로드와 이정현의 위협적인 2대2도 빛을 발했다. KCC 특유의 뎁스 위력이 드러났다. 로드는 "좋은 선수들과 함께 팀에 헌신했다. 그게 팀이다"라고 말했다.
3쿼터 막판 10점 뒤질 때 로드마저 빼고 국내선수들로 지역방어를 펼쳐 흐름을 뒤집은 건 백미였다. 추승균 감독은 "국내선수들이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오히려 존이 위력을 발휘한다"라고 진단했다.
지역방어가 맨투맨보다 움직임이 적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지역방어 역시 볼 움직임과 상대 스크린에 따라 약속된 움직임을 이행해야 한다. 결코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공을 가진 사람을 바짝 마크할 것인지, 스크린에 걸릴 때 다른 수비수와 위치를 바꿀 것인지에 대해 약속대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외국선수들이 지역방어에 익숙하지 않은 걸 감안하면 KCC 국내선수들의 지역방어는 분명 효과가 있었다.
문제는 그렇다고 KCC가 에밋을 외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에밋의 승부처 파괴력은 분명 KCC의 강점이다. 이 부분도 살리면서 에밋과 국내선수들의 조화로운 팀 오펜스, 팀 디펜스까지 살리는 게 중요하다.
추 감독은 올 시즌 에밋의 출전시간을 줄이고 로드의 활용도를 끌어올렸다. 1쿼터와 4쿼터에 로드가 뛰는 시간이 상당히 늘어났다. 그런데 최근 로드의 발목 상태가 좋지 않다. 본인도 "포스트업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했다.
결국 추 감독이 에밋과 로드의 출전시간을 다시 안배하면서, 국내선수들과의 연계플레이와 수비조직력까지 조율해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실전을 통해 장, 단점을 확인하고, 다시 수정작업을 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면서 상위권 순위다툼도 이어가야 한다.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KCC로선 에밋이 없을 때 오히려 공격이 더 잘 풀리는 건 기분 좋은 대목이다. 하지만, 마냥 기쁠 수만은 없다. 그렇다고 에밋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딜레마다.
[에밋.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