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청주 김진성 기자] 결국 통합 준우승이다.
정규시즌, 챔피언결정전 통합 준우승. KB는 분명 좋은 성적을 거뒀다. 1위, 우승 못지 않게 2위, 준우승도 값지다. KB는 충분히 훌륭한 시즌을 보냈다. 안덕수 감독은 2년차를 맞아 첫 시즌에 비해 시행착오를 크게 줄였다.
그리고 김민정, 김진영 등 신예들의 출전시간을 늘리며 KB 시스템 속에 끌어들였다. 본래 주얼 로이드를 선발하려고 했지만, KDB생명이 데려가자 발 빠르게 다미리스 단타스를 선택한 것도 결과적으로 대성공이었다. WKBL서 검증된 모니크 커리를 복귀시켰고, 정규시즌 막판 박혜진에게 붙인 것도 효과를 봤다.
마지막으로 박지수. 비록 챔피언결정전서 고개를 숙였지만, 2년차 시즌은 충분히 성공적이었다. WKBL 시상식에서 5관왕을 달성할 정도로 박지수는 성장했다. 정상적으로 막기 힘든 괴물 센터로 거듭났다.
박지수와 단타스 트윈타워는 천하의 우리은행도 긴장시켰다. 비록 단타스는 WKBL의 변경된 외국선수제도에 의해 다음시즌에 KB와 재계약하지 못한다. 그러나 KB는 앞으로 외국인 빅맨만 잘 뽑으면 얼마든지 박지수와 트윈타워를 구축, 강호로 군림할 수 있다. KB의 미래, 박지수의 미래가 밝은 건 두 말하면 잔소리다.
세계농구 흐름은 2대2와 패스게임, 스페이싱 게임으로 넘어간지 오래됐다. 그러나 KBL, 아니 WKBL서는 여전히 4~5번 높이의 위력이 중요하다. 각 구단 구성원들이 세계적인 트랜드를 구현할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KB는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값진 경험을 했다. 가장 치열한 무대에서 부족한 점을 깨달은 것 자체가 성과다. KB가 우리은행 아성을 무너뜨리고 WKBL 1인자가 되기 위해선 과제도 많다. 결국 WKBL에서 가장 디테일한 우리은행과 위성우 감독에게 막혔다.
일단 박지수가 외곽으로 밀려나자 단타스와의 동선이 엉켰다. 박지수가 외곽에서 밀려나서 공을 잡을 때 다른 선수들의 움직임과 패스루트를 다듬어야 하는 과제도 발견했다. 우리은행과 대등한 수준의 수비 응집력을 키우는 것도 필요하다.
우리은행 토종 삼총사(박혜진, 임영희,김정은)를 막아내지 못한 1~3번 라인의 대대적인 성장이 필요하다. 당연히 시간이 걸린다. KB 프런트와 안 감독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 1번으로서 경기운영이 떨어지는 심성영의 약점, 강아정을 완벽히 받치지 못하는 나머지 토종 2~3번 구성원들의 성장이 대표적이다.
1번이 약하다 보니 트윈타워의 위력을 극대화하지 못했다. 2~3번이 우리은행 토종 삼총사의 노련미를 넘을 수 없었다. 2대2 수비에 대한 약점, 박지수와 짝을 이룰 외국선수의 선발 등이 그 다음 과제다.
안덕수 감독도 2년차 시즌에 많이 배웠을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WKBL에서 잔뼈가 굵은 위 감독의 벽을 넘어서지 못했다. 하지만, 사령탑도 뼈 아픈 성찰과 경험에 의한 성장이 필요하다. 위 감독이라고 해서 처음부터 잘했던 건 아니다. 안 감독은 일본에서 코치 생활을 오래 했지만, 이제 WKBL 2년차 감독이다. 아직 갈 길이 멀다.
박지수를 보유한 KB는 수년간 WKBL 강자로 자리매김할 팀이다. 이건 확실하다.
[박지수. 사진 = 청주 송일섭 기자 andlyu@mydaily.co.kr]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