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영화 '국가부도의 날' 엄성민 작가가 '1987' 김경찬, '택시운전사' 엄유나의 현대사 작품 시나리오 작가들의 계보를 이었다.
'국가부도의 날'은 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 일주일,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과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그리고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까지, 1997년 IMF 위기 속 서로 다른 선택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전 세대 관객의 호평에 힘입어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국가부도의 날'. 이를 집필한 엄성민 작가가 영화 '1987'의 김경찬 작가, '택시운전사'의 엄유나 작가에 이어 현대사 영화의 시나리오 작가로 주목받고 있다. 두 작품은 각각 1987년 박종철 열사의 죽음을 시작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신념을 건 선택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이라는 현대사의 비극을 평범한 소시민의 시선을 통해 그리며 관객들에게 강한 울림을 선사한 바 있다.
'국가부도의 날' 엄성민 작가는 2016년, 실제 IMF 협상 당시 비공개로 운영됐던 대책팀이 있었다는 과거 기사 한 줄을 접하고 영화의 시나리오를 시작했다. 아무런 예고 없이 대한민국에 들이닥친 경제 재난 직전의 긴박했던 순간을 영화적 상상력으로 일주일에 담아 재구성한 것.
엄성민 작가는 국가 위기 속에서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담하면서도 뜨겁게 그려냈다. 특히 1997년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재현해낸 스토리와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로 깊은 여운을 선사하며 관객들의 공감대를 자극하고 있다.
그는 "현대사에서는 중요한 사건이었지만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IMF 협상의 과정과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보고 싶었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나서서 해결해 보겠다고 뛰어든 한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무엇인지 화두를 던져보고 싶었다"라고 집필 의도를 밝혔다.
이어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가 기억하는 1997년이 다 다르기 때문에 모든 세대가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영화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국가부도의 날'은 3060 세대에게는 그 날에 대한 가슴 아픈 환기를, 1020 세대에게는 새로운 경험과 여운을 선사하며 남녀노소 전 세대의 공감을 자극했다.
[사진 = CJ엔터테인먼트]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