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세상엔 착하고 따뜻한 영화가 있다. ‘증인’이 그렇다.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의 이한 감독은 ‘선한 영향력’이 사람을 바꾸고,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그의 믿음은 그동안 우리가 잊고 있었던 삶의 진실을 일깨워준다.
신념은 접어두고 속물이 되기로 마음먹은 민변 출신의 대형로펌 변호사 순호(정우성)는 살인 용의자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유일한 목격자인 지우(김향기)를 증인으로 세우려 한다. 순호는 사건 당일 목격한 것을 묻기 위해 지우를 찾아가지만, 지우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있는 자폐소녀로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시간이 흐를수록 지우를 이해하는 순호는 이제 법정에서 변호사와 증인으로 만나 진실을 마주해야하는 상황에 처한다.
‘증인’은 극과 극의 대척점에 있는 두 인물이 만나 서로의 마음을 연다는 점에서 전작 ‘완득이’와 궤를 같이한다. ‘완득이’에선 동주 선생(김윤석)을 통해 완득이(유아인)가 마음의 문을 열고 성장했다면, ‘증인’에선 순호가 지우의 순수함에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성장한다. 상처를 안고 있는 인물을 세심하게 보듬는다는 점에서도 ‘완득이’ ‘우아한 거짓말’의 연장선상에 있다. 순호가 지우의 마음 속으로 걸어가듯, 관객 역시 이한 감독의 착한 세계로 빠져든다.
‘증인’은 가슴 뭉클한 휴머니즘 뿐만 아니라 치열한 논리 싸움의 법정영화로도 흥미롭다. 처음 용의자로 지목된 가사 도우미 미란(염혜란)이 무죄인지, 유죄인지를 놓고 펼쳐지는 검사 희중(이규형)과 순호의 치열한 법리 공방을 긴장감 있게 담아냈다. 다양한 과학적 근거와 실험으로 자폐아 진술의 신빙성을 하나 둘 씩 증명해가는 과정도 인상 깊게 그려냈다. 재판이 진행될수록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극의 흐름도 영화의 주제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거칠고 뜨거운 캐릭터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정우성은 따뜻하고 인간적인 변호사 역을 부드럽게 소화했다. 김향기는 눈빛, 표정, 몸짓, 말투 등 모든 면에서 자폐 소녀 캐릭터를 뛰어나게 연기했다. 두 배우의 호흡은 진한 향기의 인간미를 발산한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진심을 제대로 알아줄 때 우리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누군가 물을지 모른다.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 우리 모두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사진 제공 = 롯데엔터테인먼트]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