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마이데일리 = 여동은 기자] 의자에 오래 앉거나 50대 이상이라면 허리 통증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허리 통증이 생기면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다리 통증을 심하게 동반하는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분명히 다른 치료를 해야 허리 통증을 호전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은 허리디스크와 어떻게 다를까? 의정부 참튼튼병원 척추외과 조경석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펼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걷거나 통증이 느껴져 앉으면 통증이 줄어드는 경우, 뼈와 관절, 인대 등이 지속적으로 두꺼워져 점차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이 느껴질 경우에는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보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조 원장은 "일상에서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끝 등이 저리거나 아프거나 당길 경우에도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에 해당한다"라고 설명했다. 집에서 누워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뒷부분이 당겨서 많이 올라가지 않으면 허리디스크, 어려움 없이 들어 올릴 수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자가 진단과 허리 통증만으로는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이 비슷하여 전문의에게 정확한 검진을 받고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의정부 참튼튼병원 의료진은 "허리 통증과 다리 통증이 극심하여 무조건 수술을 생각하여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 비수술 치료로 호전될 수 있는 경우도 많다"라고 말하면서 "신경유착박리술, 풍선확장술, 내시경 레이저 시술 등을 시도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풍선확장술은 국소 마취 후 좁혀진 척추 신경 통로에 풍선이 장치된 카테터를 삽입해 척추관 협착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마취의 부담을 벗어날 수 있고 풍선이 확장과 이완을 하기 때문에 좁아진 추간공을 넓혀 유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척추관협착증의 원인은 노화가 진행되며 척추를 지지하는 인대가 딱딱해지고 두꺼워져 디스크가 밀려나오며 후관절도 함께 두꺼워져 신경을 누르는 병으로, 10~20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석희 기자 young199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