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마이데일리 = 여동은 기자] 석회성 건염은 어깨질환 중 가장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건 조직에 석회 침착으로 염증이 발생해 심한 통증과 기능제한이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힘줄에 산소가 부족하고 자주 눌려지는 현상과 나이에 따른 퇴행성 변화 때문으로 보고 있다.
극심한 통증에 비해 초, 중기 치료는 약물, 전문/체계적 어깨재활치료와 흡인 등 비수술적 방법 만으로 증상호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에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후기로 악화된 관절내시경 수술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견주관절 치료 중점의료기관으로 국내/외 학술대회 및 SCI 저널에 꾸준한 어깨치료 개선에 관한 연구성과를 발표해온 광명 연세훈정형외과 성창훈 원장팀은 힘줄손상이 동반되지 않은 중, 후기 비절개 방식의 경피적 타겟팅을 도입해 치료 부담개선에 성공했다.
성창훈 원장은 “석회는 크게 전기, 화기, 후기로 구분되며 이와 함께 Ga¨rtner 분류에 따라 만성시작과 급성으로 구분한다. 이 분류법을 적용해 Grade1,2는 비수술/ 힘줄손상 유무에 따라 수술과 경피적타겟팅 치료로 선별 시행한다"며 “경피적 타겟팅 치료는 Grade3에 시행한다. 이 단계는 석회가 크고, 염증이 심해 과거 수술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힘줄손상이 동반되지 않았다면 비절개 방식의 경피적 타겟팅 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타겟팅 치료는 고해상도 초음파로 크기, 침착 정도 및 힘줄 내 염증분포를 확인한다. 다음 석회를 녹이고, 염증을 치료할 정도의 약물의 정도와 투여 범위를 설계하여 치료를 진행하다. 약물로 녹인 석회는 다시 잘게 부순다. 부서진 석회는 자연스럽게 흡수되므로 별도의 제거 과정이 필요 없다. 따라서 통증, 치료 지연 문제없이 바로 일상 복귀가 가능해 치료부담이 크게 개선될 수 있었다.
다만 성 원장은 석회 제거만으로 치료가 끝났다 여길 경우 합병증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석회가 발생하면 통증에 의한 기능제한 및 염증에 의한 주변조직 손상이 동반된다. 때문에 제거 후 무리하게 바로 어깨를 사용한다면 힘줄 및 주변조직 손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석회 제거 후 가동 범위 및 주변조직 회복 정도에 따른 단계적 어깨 재활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민희 min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