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콧속에 농이 쌓여 배출되지 않는 축농증은 일상생활에 여러 불편함을 주는 비염증상 중 하나다. 코의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한 증상이기에 부비동염이라고도 불린다.
축농증은 코막힘이나 콧물,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이 대표적이며, 심하면 안면통증, 발열, 귀가 먹먹한 느낌, 피가 섞인 콧물 등이 있을 수 있다.
각종 코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어 병원을 찾은 김영재(가명·일산) 씨는 다양한 검진 끝에 축농증을 진단받았다. 김 씨는 "콧물이나 코막힘이 심해서 코감기라고 생각했는데 축농증일 줄은 몰랐다"라면서 "한시라도 빨리 편하게 숨 쉬고 싶다"라고 밝혔다.
다양한 코 증상을 동반하는 축농증은 코점막 문제를 원인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한방에서는 면역이나 독소, 체열, 장부 등 인체 복합적인 문제가 얽혀 나타난 질환이라고 본다. 따라서 축농증 치료는 증상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원인이 된 몸속 문제 개선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숨길을열다한의원 일산점 심정은 원장은 "축농증이 오래가면 후각 장애는 물론 비출혈 등의 각종 증상이 만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부비동에서는 점액을 분비해 외부의 이물질을 걸러 체외로 배출하는 것을 도우며, 호흡을 통해 머리로 오른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축농증으로 부비동 입구가 막히면 점액 배출에 문제가 생겨 부비동 내부에 고름이 찬다. 이로 인해 흔히 말하는 코 막힌 소리가 나며 콧물이나 후비루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 원장에 따르면, 축농증을 오랜 시간 방치하면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성 축농증은 후비루로 인해 중이염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신체 전반적인 건강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커 치료를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의원에서는 다양한 검진을 통해 환자의 장부 상태를 확인하고, 비 내시경을 통해 코점막 상태를 확인한다. 세밀한 검진을 거쳐 축농증이 나타난 원인을 파악한 뒤 원인을 바로잡는 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므로 재발을 걱정했던 환자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몸 치료를 중점으로 진행되는 한방 축농증 치료는 축농증을 유발한 원인 개선을 통해 코점막의 부종과 코 환기 상태를 좋게 만들어 증상 개선은 물론 전반적인 건강 회복과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위해 처방하는 한약은 환자의 체질이나 건강 상태, 생활습관 등 개인마다 다른 다양한 특성을 고려했으므로 치료 부작용 걱정을 덜 수 있다.
끝으로 심 원장이 조언한 축농증 관리법은 다음과 같다. ▷걷기, 달리기 운동 등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 혈액순환 촉진하기 ▷따뜻한 물을 많이 마셔 호흡기 점막 건강 관리하기 ▷매일 7시간 이상 충분히 숙면해 피로회복하기 ▷가급적 금주하기 ▷균형 잡힌 식사하기
이석희 기자 young199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