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개봉과 동시에 전체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한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가 시리즈의 창조자 제임스 카메론이 영화에 담아낸 3가지 메시지를 공개하며 관심을 집중시킨다.
영화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가 개봉 첫날, 27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동원하며 전체 박스오피스 1위는 물론 시리즈 사상 최고 오프닝 스코어를 경신했다. 이와 같이 열띤 반응의 중심에는 28년 만에 컴백한 시리즈의 창조자 제임스 카메론과 그가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있다. 지난 25일(금) 국내 매체를 대상으로 진행된 라이브 컨퍼런스를 통해 제임스 카메론이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로 관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직접 소개했다.
#1. 미래를 변화시킬 힘은 우리에게 있다
그는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메시지로 "우리는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미래를 변화시킬 힘은 우리에게 있다"를 꼽으며, "사회적, 정치적 이슈들로부터 스스로를 구해야 하는 젊은 관객들에게도 가장 시의적절한 영화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에서도 '리전'의 공격으로 인류의 멸망은 예견되어있지만, 새로운 인류의 희망 '대니'와 그녀를 지키기 위해 미래에서 온 슈퍼 솔져 '그레이스', 터미네이터 헌터 '사라 코너'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맞서 싸운다.
특히 강인하게 스스로 미래를 개척해나가는 캐릭터들이 이전에는 그저 평범한 인간이었을 뿐이었다는 사실은 관객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긴다. 제임스 카메론은 "자신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개개인도 역사 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고, 이 메시지가 모두에게 힘을 준다고 생각한다"며 시리즈의 메시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2. 젠더와 인종을 아우르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다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에서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며 극을 이끌어가는 '대니', '그레이스', '사라 코너' 캐릭터가 모두 여성이라는 점이다. 특히 새로운 인류의 희망 '대니'는 시리즈 최초의 라틴계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미 ‘터미네이터’ 1, 2를 통해 전례 없는 여성 전사 캐릭터 '사라 코너'를 선보였던 제임스 카메론은 "영화 속 모든 캐릭터들을 통해 인종과 젠더를 다양하게 보여주는 서사를 만들고 싶었다"고 전했다. 여기에 28년 만에 '사라 코너'로 돌아온 린다 해밀턴은 변하지 않는 카리스마로 스크린을 압도한다.
제임스 카메론 또한 "60대 여성인 린다 해밀턴이 액션 리더로 등장하는 것이야말로 고정 관념의 틀을 깨는 가장 혁신적인 부분이다"라며 '사라 코너' 캐릭터의 상징성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서구권 액션 영화에서 여성 주연 캐릭터가 60대인 경우는 처음인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20대보다도 50~60대가 더 강한 캐릭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3. 우리는 '터미네이터' 시대 바로 직전에 살고 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우리는 '터미네이터' 시대 바로 직전에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AI에 대한 화두를 던지기도 했다. 영화가 그려낸 미래와 실제가 더욱 가까워졌다는 것이다. 그는 "1984년만 하더라도 AI는 하나의 판타지고 먼 미래의 이야기였지만, 이제는 슈퍼 인텔리전트 인공지능도 가능한 시대"라며 ‘터미네이터’가 첫선을 보였던 1984년과 현재를 비교하기도 했다.
그는 인공지능의 발전이 장밋빛 미래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비판적인 시각을 밝혔고, 이는 '비판적 의견을 어떻게 영화적으로 풀어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졌다. 제임스 카메론이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에 자신의 고민을 담기 위해 선택한 방식은 바로 오리지널 캐릭터들을 불러오는 동시에 스토리를 확장하는 것이었다. 그는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다시 한번 센세이셔널한 작품의 탄생을 알렸다.
심판의 날 그 후, 미래에서 온 '슈퍼 솔져' 그레이스 VS 최첨단 기술력으로 무장한 최강의 적 터미네이터 'Rev-9'이 벌이는 새로운 운명의 격돌을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는 전국 극장에서 절찬 상영 중이다.
[사진 제공 = 20세기폭스]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